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은진석 (경북대학교) 이정태 (경북대학교)
저널정보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연구 국제정치연구 제25집 제1호
발행연도
2022.3
수록면
67 - 88 (22page)
DOI
10.15235/jir.2022.03.25.1.67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불칭패(不稱覇)에서 도광양회(韜光養晦), 유소작위(有所作爲)를 거쳐 위대한 중화의 부흥을 목표로 하고 있는 중국외교는 시진핑 정부의 중국몽(中國夢), 인류운명공동체을 거치며 적극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미 · 중 무역전쟁이 촉발되고 이른바 신냉전으로 표현될 정도의 대립구도가 형성되면서 미중은 주도권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 미중의 관계의 경색이 국제체제와 시장에 투영되면서 양국이 구사하는 외교의 성격과 형태도 변하고 있다. 최근 제기되어온 네트워크 국제정치이론은 이러한 경쟁의 양상을 분석하는데 유의미한 수단이 될 수 있는데, 동 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심성(centrality)이 그 핵심개념이다. 중심성은 특정 행위 주체를 중심으로 연결되는 관계가 만들어낸 결과로서 관계의 속성에 따라 행위 주체에게 이익이나 위협을 제공하는 양가적 개념이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이론에서 제시한 중심성이 제공하는 효과의 형성과 이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로 관계의 맥락(relational context)에 주목하여 시진핑 중국정부가 전개해온 외교의 한 형태인 전랑외교(戰狼外交)에 적용하였다.
전랑외교는 중국이 당면한 존재론적 안보위기(ontological security crisis)와 국내정치적 불안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시진핑 정부의 외교 스타일이며, 과거 중국이 누렸던 중심국가로서의 정체성(中國, central state) 회복을 목표로 한다. 전랑외교가 주변국들의 위신을 폄훼하여 존재론적 안보 딜레마를 야기하고 주변과의 관계를 악화시켜서 주변국들로 하여금 탈중국 및 대중국 견제외교 노선을 선택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중국 일각에서 전랑외교 노선수정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있지만 국내정치적 요인으로 인하여 당분간 현재의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관계의 맥락과 네트워크 중심성의 상관관계
Ⅲ. 전랑외교의 배경 및 전개
Ⅳ. 전랑외교의 결과 및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