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서론
2. 선악의 가능성과 선의 우선성
3. 호응과 상충의 공존에 대한 하나의 해명
4. 한원진과 이간의 대답: 호응과 상충의 종합
5. 선(善)의 탐구라는 조선 성리학의 문제와 논쟁의 요인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왕부지와 정약용 철학에 나타난 본성론 문제
동양철학연구
2021 .11
인물성론에 대한 도덕형이상학적 이해 —이간과 한원진의 심을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2020 .01
김창흡과 한원진의 인물성 논쟁 및 이간과의 비교
한국학논집
2019 .06
한원진의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통해 본 물(物)의 형이상학과 윤리학
철학
2022 .08
퇴계 선(善)의 이중성과 유일성
동아인문학
2015 .12
외암 이간의 철학사적 지위 재검토-낙론 확립 과정에 미친 그의 영향을 중심으로-
범한철학
2024 .03
조선후기 인물성론의 인간학적 가치-한원진과 이간을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2017 .01
New Analysis ofWang Yangming’s Four Dicta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7 .02
성선(性善)에 기초한 맹자(孟子)의 교육관 비판
율곡학연구
2021 .09
원효의 삼세육추(三細六麤)설과 이황의 사단칠정(四端七情)론의 통로
한국불교사연구
2017 .06
성리학의 시적 실천 : 三淵 金昌翕의 〈葛驛雜詠〉 연구
인문과학연구
2017 .12
“Reaching at Supreme Goodness”: 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Intrinsic Relation between Benevolence and Human Nature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5 .08
남당 한원진의 양명학 비판론 연구 - 심(心)과 리(理), 그리고 유학전통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양명학
2021 .09
권상하와 이현익 인물성 논쟁: 한원진과 관련하여
온지논총
2020 .01
한원진 성삼층설의 인성교육적 함의와 활용가치
양명학
2018 .12
고한승과 연성흠의 아동문학 연구 - ‘착함’에 내재된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연구
2023 .01
『정조실록』에서 호락의 미발논쟁 연구 - 김창흡 ? 이재 대 한원진?심조의 논쟁 및 이간과 비교를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20 .01
한원진 성삼층설의 현대적 해석
유학연구
2016 .08
성기호설(性嗜好說)과 성선설(性善說)-다산(茶山)의 『맹자(孟子)』해석-
태동고전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