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동숙 (성균관대학교)
저널정보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유학연구 유학연구 제36권
발행연도
2016.8
수록면
61 - 82 (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大學』의 正心工夫에 대한 퇴계와 고봉의 논의를 중심으로, 퇴계의 소종래로서 정의된 사칠 개념으로는 해명이 어려워 보였던 四端不中節 · 七情中節 현상이 수양론적 측면에서 마음의 主宰문제와 연결되어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한 후 그의 사칠론을 새롭게 모색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고봉과의 논쟁 내용 및 기타 언급을 통하여 퇴계의 사칠 개념을 정리해볼 것이다. 사단과 칠정이 본래 性에서 발한 하나의 情이라는 점에 초점을 둔 고봉은 퇴계의 소종래로부터의 정의 방식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다. 그의 논리로 보면 퇴계의 사칠론은 사단의 기적 측면과 칠정의 리적 측면이 제외된 것이자, 아울러 사단부중절과 칠정중절을 정합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퇴계에게 있어 사칠의 중절·부중절은 그의 소종래적 정의로부터 보장되는 것이 아닌, ‘마음이 그들을 온전하게 주재하는가’에 따라 결정되는 문제이다. 퇴계의 사칠개념은 연원으로부터 정의됨과 동시에 마음이라는 수양론적 층위에서도 논의되고 있었다. 이러한 퇴고 양자의 입장과 그 대립양상은 『대학』·「정심장」해석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퇴계는 소종래로부터의 정의방식에 입각하여 악으로의 轉化가능성을 가진 칠정을 정심공부의 대상으로 두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고봉은 소종래적 사유로 정심공부의 대상을 결정할 수는 없다고 반론하고, 그 근거로 사단이 부중절할 가능성을 든다. 즉 사단 또한 하나의 의도로서 마음에 개입되어 잘못 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퇴계는 칠정을 정심공부의 대상으로 보는 입장을 견지함과 동시에, 사단 또한 마음에 담아두어도 전혀 해가 되지 않는 순선무악한 감정임을 명시한다. 그는 맹자가 말한 사단의 본래적 함의에서는 부중절이 성립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들의 사칠 정의방식의 차이는 이와 같은 공부론 상의 해석에서도 보인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퇴계가 사단부중절을 전면 부인했다고 볼 수는 없다. 퇴계에게 있어 사단의 중절한 발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마음이 그를 온전히 주재하고 있는가의 여부이다. 순선이라는 소종래적 정의가 그대로 실현되는 상황은 오직 성인의 경우에 한정된 것이다. 고봉과의 논의에서 사단부중절의 발생을 범인의 경우에 한했던 것 또한 이와 같은 맥락이다. 한편 칠정이 중절하여 선한 감정이 될 수 있는가 또한 ‘악으로 흐를 수 있다’는 소종래적 정의가 아닌 리의 주재여부, 즉 마음의 수양문제로 귀결된다. 다시 말해 퇴계에게 있어 사단과 칠정의 중절 여부는 소종래로서의 정의가 아닌 마음의 주재라는 수양론적 차원에서 해명되는 문제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본 논문은 그의 사단칠정 개념을 마음의 주재문제와 연결지어 재검토하는 것으로 마무리될 것이다. 퇴계의 사단과 칠정 개념은 “마음이 감정을 주재하면 모두 중절한다.”는 수양론적 해석을 통하여 더욱 완결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를 통해 보다 현실적이며 실천적인 개념으로 재고 가능하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