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상모 (경북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문학언어학회 어문론총 어문론총 제94호
발행연도
2022.12
수록면
199 - 229 (3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동아일보』 연애소설로서 이익상의 「짓밟힌 진주」가 지닌 특이점에 대해 고찰한다. 『동아일보』 연애소설에서는 지속적으로 연애에 실패한 인물들이 파멸한다. 이는 성숙한 인격자가 세계와 관계하는 방식으로서의 연애가 실제 사회에서 제대로 기능할 수 없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인물이 파멸한다는 것은 연애를 벗어난 다른 방식을 상상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연애를 통해 세계에 참여할 수는 없지만, 다른 방식을 상상할 수 없기에 연애가 실패하면서 인물도 파멸한다. 이익상의 「짓밟힌 진주」는 연애에 관련된 인물들이 파멸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동아일보』 연애소설과 차이가 있다. 연애에 실패하더라도 인물들은 그저 일상으로 복귀할 뿐이다. 이를 통해 「짓밟힌 진주」에서는 연애에 대한 다른 시선이 드러난다. 먼저, 연애는 실패할 수 있으며 현실적 요건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희병은 소정과의 연애를 통해 결혼과 가정, 그리고 이를 통한 출세를 상상한다. 하지만 이러한 상상에는 근거가 없다. 희병은 가난하며 여배우인 소정을 안락한 가정으로 끌어들일 여력이 없다. 희병의 상상은 현실과 상관없이 관념적이고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뿐이다. 반면 소정은 연애에 실패한 경험이 있다. 소정과 미래를 약속한 연인은 오해로 인해 소정과 갈라서고, 소정은 그러한 사랑을 회복할 수 없다. 소정에게 연애는 실패할 수 있는 것이며 미래에 대한 행복한 전망은 근거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연애에 대한 입장은 모두가 대등하다. 「짓밟힌 진주」에서 연애는 특정한 방식만이 옳은 것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정조에 대한 인물들의 시선은 다양하며 연애에 냉소적이던 인물들이 작품의 결말에서 새로 연애를 시작하기도 한다. 등장인물들이 연애를 생각하는 방식은 가지각색이며, 그 입장들은 모두 대등하다. 연애에 대한 절대적 방식은 없으며 그만큼 연애 역시 절대적이지 않다. 나아가 연애는 하다가 그만둘 수도 있고, 하지 않다가 할 수도 있는 것으로 형상화된다. 연애는 인물들을 지배하지 못하며 나름대로의 방식을 통해 향유될 뿐이다. 그러므로 연애에 실패하더라도 인물들은 파멸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서사 중 연애에서 비껴나간 부분으로 당대의 현실이 끼어든다. 희병은 혜원을 괴롭히는 파렴치한과 구타 사건에 얽히면서 연애에서 잠깐 눈을 돌리게 된다. 이때 희병이 만나는 것은 공동주택에서 가난하게 사는 빈민들이다. 명식 역시 희병과 소정의 연애에서 물러나 섬으로 들어가서 생활고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하지만 이들이 연애로 복귀하는 순간, 이러한 비참한 현실은 잠꼬대나 편지 속 내용으로 축소된다. 연애는 세계를 해석하거나 영향을 줄 수 있는 매개라기보다는, 연애에만 몰두하는 인물들이 주변의 현실을 바로 보지 못하게 한다. 「짓밟힌 진주」는 연애소설을 통해 연애담론에서 벗어나 연애의 의미를 달리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연애는 세상을 해석할 수 있는 매개가 아니며, 인격자가 가정의 형성을 통해 사회에 기여한다는 부르주아 담론으로서의 연애도 부정된다. 연애를 하거나 말거나는 개인의 선택일 뿐이고, 오히려 연애를 덜어낸 자리에 나타나는 현실을 바로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 『동아일보』 연애소설에서 연애의 불가능성을 드러내면서도 연애 이외의 무언가로 나아가지 못했다면, 「짓밟힌 진주」에서는 연애라는 행위의 자유로움을 통해 연애가 현실에서 아무것도 아님을 드러낸다. 연애는 인생을 파멸할 정도의 힘을 가지지 못하며, 연애가 끝나고서야 시작되는 허위로서의 현실을 발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