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동아일보』 연애소설로서 이익상의 「짓밟힌 진주」가 지닌 특이점에 대해 고찰한다. 『동아일보』 연애소설에서는 지속적으로 연애에 실패한 인물들이 파멸한다. 이는 성숙한 인격자가 세계와 관계하는 방식으로서의 연애가 실제 사회에서 제대로 기능할 수 없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인물이 파멸한다는 것은 연애를 벗어난 다른 방식을 상상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연애를 통해 세계에 참여할 수는 없지만, 다른 방식을 상상할 수 없기에 연애가 실패하면서 인물도 파멸한다. 이익상의 「짓밟힌 진주」는 연애에 관련된 인물들이 파멸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동아일보』 연애소설과 차이가 있다. 연애에 실패하더라도 인물들은 그저 일상으로 복귀할 뿐이다. 이를 통해 「짓밟힌 진주」에서는 연애에 대한 다른 시선이 드러난다.
먼저, 연애는 실패할 수 있으며 현실적 요건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희병은 소정과의 연애를 통해 결혼과 가정, 그리고 이를 통한 출세를 상상한다. 하지만 이러한 상상에는 근거가 없다. 희병은 가난하며 여배우인 소정을 안락한 가정으로 끌어들일 여력이 없다. 희병의 상상은 현실과 상관없이 관념적이고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뿐이다. 반면 소정은 연애에 실패한 경험이 있다. 소정과 미래를 약속한 연인은 오해로 인해 소정과 갈라서고, 소정은 그러한 사랑을 회복할 수 없다. 소정에게 연애는 실패할 수 있는 것이며 미래에 대한 행복한 전망은 근거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연애에 대한 입장은 모두가 대등하다. 「짓밟힌 진주」에서 연애는 특정한 방식만이 옳은 것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정조에 대한 인물들의 시선은 다양하며 연애에 냉소적이던 인물들이 작품의 결말에서 새로 연애를 시작하기도 한다. 등장인물들이 연애를 생각하는 방식은 가지각색이며, 그 입장들은 모두 대등하다. 연애에 대한 절대적 방식은 없으며 그만큼 연애 역시 절대적이지 않다. 나아가 연애는 하다가 그만둘 수도 있고, 하지 않다가 할 수도 있는 것으로 형상화된다. 연애는 인물들을 지배하지 못하며 나름대로의 방식을 통해 향유될 뿐이다. 그러므로 연애에 실패하더라도 인물들은 파멸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서사 중 연애에서 비껴나간 부분으로 당대의 현실이 끼어든다. 희병은 혜원을 괴롭히는 파렴치한과 구타 사건에 얽히면서 연애에서 잠깐 눈을 돌리게 된다. 이때 희병이 만나는 것은 공동주택에서 가난하게 사는 빈민들이다. 명식 역시 희병과 소정의 연애에서 물러나 섬으로 들어가서 생활고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하지만 이들이 연애로 복귀하는 순간, 이러한 비참한 현실은 잠꼬대나 편지 속 내용으로 축소된다. 연애는 세계를 해석하거나 영향을 줄 수 있는 매개라기보다는, 연애에만 몰두하는 인물들이 주변의 현실을 바로 보지 못하게 한다.
「짓밟힌 진주」는 연애소설을 통해 연애담론에서 벗어나 연애의 의미를 달리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연애는 세상을 해석할 수 있는 매개가 아니며, 인격자가 가정의 형성을 통해 사회에 기여한다는 부르주아 담론으로서의 연애도 부정된다. 연애를 하거나 말거나는 개인의 선택일 뿐이고, 오히려 연애를 덜어낸 자리에 나타나는 현실을 바로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존 『동아일보』 연애소설에서 연애의 불가능성을 드러내면서도 연애 이외의 무언가로 나아가지 못했다면, 「짓밟힌 진주」에서는 연애라는 행위의 자유로움을 통해 연애가 현실에서 아무것도 아님을 드러낸다. 연애는 인생을 파멸할 정도의 힘을 가지지 못하며, 연애가 끝나고서야 시작되는 허위로서의 현실을 발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In this study, I consider the unique of Lee Ik-Sang’s Trampled Pearl which is a love story of the Dong-A Ilbo. In the Dong-A Ilbo's love story, the characters who failed in love is constantly destroyed. This proves that love as a way of relating to the world can’t function properly in the real society. Even though they are not in love properly, they can’t imagine any other way out of love. Thus, while the cracks of love and society are revealed, the characters are destroyed. Trampled Pearl differs from the Dong-A Ilbo's love story in that the characters involved in the love are not destroyed. Even if the relationship fails, the characters just return to their daily lives. Through this, Trampled Pearl reveals a different view of love.
First of all, love can fail and you need to consider realistic requirements. Hee-Byung imagines marriage, family and finally success through his love affair with So-Jung. But there is no basis for this imagination. He is poor and cannot afford to bring her into a comfortable home. His imagination is ideological and automatic regardless of reality. On the other hand, she has an experience that failed in love. A lover who promises her future leaves her because of misunderstandings, and she cannot recover that love. For her, love can fail and a happy prospects for the future appears groundless.
Next, everyone’s position on love is equal. In this work, there is not just one way to love. The character’s views on chastity are diverse and at the end of the work, characters who are cynical about love start a new relationship. The way characters think about love is diverse, and their positions are all equal. There is no absolute way of love, it is only a matter of choice. Therefore, love is shaped as something that can be done or quitted. Love does not control the characters, only enjoyed in their own way.
Lastly, the reality intervenes in the part where love is excluded from the narrative. Hee-Byung turns his eyes away from love for a moment as he intertwines with the shameless bully who teases Hye-Won. At this time, he meets poor people living in tenement house. Myung-sik steps away from Hee-Byung and So-Jung’s love and enters the island, he also meets people suffering from life's troubles. But the moment they return to romance, this miserable reality is reduced to a sleeptalking or a letter. Love covers the whole reality, and the characters who are only involved in love do not see the reality around them.
Trampled Pearl is a work that shows the different meaning of love through love stories. In this work, love is not a medium that interprets the world. And the love as a bourgeois discourse about the settlement of society through the formation of family is also denied. Love or not, it is only an individual choice, but it is necessary to see the reality that appears in the place where love is taken away.
In the existing Dong-A Ilbo’s love story, if it reveals the impossibility of love but has not moved on to anything other than love, Trampled Pearl reveals that love is nothing in reality. Love does not have the strength to destroy life, an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reality as a falsehood that begins only after love 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