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머리말
Ⅱ. 천황호 · 한풍시호 재흥의 추진 배경
Ⅲ. 재흥의 실현과 한풍시호 고안 과정
Ⅳ. 천황호 · 한풍시호 재흥 과정의 재평가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에도 시대 후기의 정치개혁과 조정의 대응 ― 교육기관 설립 구상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
2023 .03
대한제국기 追贈·諡號 제도의 변화와 追贈文書·諡號文書 연구
장서각
2021 .10
19세기 초 일본정치사 속의 조정-막부 관계 ― 1827년의 막부 사자 파견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
2021 .12
諡號, 조선시대 官僚形 인물의 死後 品格(1)
영주어문
2018 .01
여말선초 대중국관계와 국왕시호(國王諡號)
역사와현실
2017 .06
에도시대 후기 공가사회의 학문과 고의당 제5대 이토 도호 – 학문적 기여 양상의 구체적 검토 –
일본연구
2024 .03
이상 소설과 재현, 그리고 모더니즘-「斷髮(遺稿)」을 중심으로
이상리뷰
2019 .12
조선시대 포은(圃隱) 정몽주 치제의례(致祭儀禮)
포은학연구
2019 .01
고려 전기 국왕 諡號制의 내용과 그 의미
한국사학보
2021 .02
백제의 시호제(諡號制)와 시호(諡號)의 함의
백제학보
2020 .01
영조대 숙빈 최씨 추숭과 가상시호加上諡號의 의의
국학연구
2023 .07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earch of Chinese Five Emperors Era from the Perspective of Its Systematic Historical Literature
한중언어문화연구
2015 .06
일본의 패전과 천황의 전쟁 책임 : ‘성단’과 평화주의의 허구
동북아역사논총
2015 .12
時間을 加工하다 ― 西北漢簡을 통해 본 漢代 年號 改元과 문서 행정의 관계 ―
중국고중세사연구
2023 .02
메이지유신 이후 천황제와 大韓國國制의 비교 -전제군주권적 측면에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5 .01
일제강점기 초등교과서에 표상된 明治天皇 : 조선총독부 편찬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7 .05
유교의 禮學的 탐구를 통한 孝 사상 고찰
민족문화연구
2021 .11
한글본 가상존호 책문의 제작 배경과 특성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8 .09
근대 천황상 확립과 ‘황도주의(皇道主義)’ 교육에관한 고찰
日本學硏究
2015 .01
아키히토[明仁] 천황의 ‘황실외교’에 관한 연구 - 중국 방문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