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제강점기 초등교과서에 표상된 明治天皇 : 조선총독부 편찬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7 .05
메이지유신 이후 천황제와 大韓國國制의 비교 -전제군주권적 측면에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5 .01
고려 元宗·忠烈王대의 親朝외교
한국사연구
2017 .06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earch of Chinese Five Emperors Era from the Perspective of Its Systematic Historical Literature
한중언어문화연구
2015 .06
왜 고려전기의 國制는 황제국 체제로 보일까? - 후대 감각과 지식의 소급 적용으로 탄생한 고려전기 황제국 체제 -
역사학보
2021 .06
제국 일본의 엽서 - 강제늑약 및 천황과 전쟁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19 .12
고려 무인정권기 명종의 현실인식과 정치운영
한국사연구
2015 .03
안원(顔元) 『사존편(四存編)』의 교육적 의미 —「존학편(存學編)」과 「존성편(存性編)」을 중심으로—
동방문화와 사상
2021 .12
정치와 종교의 이중 프로퍼갠더 -비잔티움 황제 복장의 천사 도상 연구-
교회사연구
2020 .06
황실 터부와 표현의 부자유 -오에 겐자부로 「정치소년 죽다」와 후카자와 시치로 「풍류몽담」을 시좌로-
일본연구
2021 .02
借《杜律啟蒙》對邊連寶批 “神韻說”之因再剖析
중국문학
2017 .08
메이지 천황의 ‘신성’함의 기원들 ― 메이지헌법 신성불가침 조항의 의미에 대하여 ―
일본학보
2021 .11
카를 5세의 제국 이념과 공적 의례
史叢(사총)
2021 .01
『백호통의』의 생성과 그 정치적 의미- 황권옹호와 황권제한의 이중구조 -
유학연구
2016 .08
唐 후기 皇位 繼承의 樣相과 宣宗의 즉위 -長子 명분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2019 .01
淸朝 書院의 敎學 內容 硏究
언어학연구
2016 .01
韓中 두 나라의 異國人假面戱와 ‘貢物 바치기’에 대한 비교 고찰
중국문학
2017 .01
Happy Times and/or Good Emperors? How and why did the “Antonine Dynasty” become the Period of “Five Good Emperors” in Chinese Academia?
서양고전학연구
2024 .12
淸 嘉慶帝의 親政 시작과 人事
이화사학연구
2020 .01
신유학의 아동교육(1) : 주자와 왕양명을 중심으로
양명학
2015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