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상준 (포항공과대학교)
저널정보
이상문학회 이상리뷰 이상리뷰 제15호
발행연도
2019.12
수록면
141 - 168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Lee Sang became a member of literary world by publishing three shortstories (「鼅鼄會豕」, 「날개」 and 「逢別記」) in 1936. This couple trilogy was the result of the aesthetic compromise to accept representation technique of realism literature which held hegemony at that time. In 1937 he published two shortstories (「童孩」 and 「終生記」) which reached a higher plane of aesthetic achievement of aesthetic self-consciousness and became an eminent exemplar. This change was made intentionally from the psychological shortstory using representation to the most unconventional shortstory showing aesthetic self-consciousness. This can be verified by posthumous works 「斷髮(遺稿)」 and 「幻視記」. These works enlarged the boundary of psychological shortstory, but both of them were not published. Instead, Lee Sang published 「童孩」 and 「終生記」 and made clear the aesthetical change from psychological shortstory to aesthetic self-consciousness. This change headed for the culmination of modernism in Korea in the late 1930’s.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