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다음 세대를 위한 새로운 성경 번역의 필요성
2. 어휘론적 의의: 고유어 풀어쓰기 중심 번역
3. 문장론적 의의: 속독 속해를 위한 단문 중심 번역
4. 담화론적 의의: 높임법 다양화 및 차별 표현 개선
5. 표기론적 의의: 한글 정서법의 준수와 가독성(可讀性)의 향상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은 원문에 얼마나 가까워졌는가? — 누가복음을 중심으로 —
성경원문연구
2022 .10
『새한글성경』 신약성경에 관한 고찰
신약연구
2021 .12
『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 번역에 관한 제언 —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독특한 표현들을 중심으로 —
성경원문연구
2022 .10
영어 성경 번역의 역사
성경원문연구
2018 .04
『개역개정』 성경 개정을 위한 문체 논의
성경원문연구
2022 .04
『새한글성경』의 번역 배경과 주요 특징 — 신약을 중심으로 —
성경원문연구
2022 .10
『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의 πίστις 번역에 대한 분석과 제언 — 갈라디아서를 중심으로 —
성경원문연구
2022 .10
초기 한국어 성경의 저본 판정을 위한 성경 서명의 음역어 대비 연구
한국언어문학
2021 .01
1912년 간행된 중국어 성경의 언어 특징 연구 — 『쉐레쉐브스키 쉬운 문리역』과 『관화체화합본』의 마태복음을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22 .08
Translating Scripture for Sound and Performance: New Directions in Biblical Studies : James A. Maxey and Ernst R. Wendland, eds.,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6, Eugene: Cascade Books, 2012
성경원문연구
2018 .04
기독교 용어의 번역과 사상의 토착화 연구 ―음역어 ‘예수’와 의역어 ‘하ᄂᆞ님’을 중심으로―
우리말연구
2020 .01
『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의 ‘역사적 현재’ 번역에 대한 평가와 제언 — 마가복음을 중심으로 —
성경원문연구
2022 .10
The Japanese Translations of the Hebrew Bible: History, Inventory and Analysis (Doron B. Cohen, Leiden: Brill, 2013)
성경원문연구
2022 .04
중국 고대기독교 경교의 『성경』 번역
번역학연구
2015 .06
아랍어 성경 번역, 역할과 메시지
아랍과 이슬람 세계
2018 .12
한글성경 번역을 위한 희구법 카탈 적용의 필요성
성경원문연구
2017 .04
영어성경 번역의 초기 역사, 배경과 영어 수업에의 적용
신학과세계
2022 .06
십계명(출 20:1-17)의 중(中) · 한(韓) 성서 비교 연구
구약논단
2019 .09
영어성경(NIV)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몇 가지 제안 - 마태복음을 중심으로 -
영어영문학
2019 .08
개화기 만주에서의 한글성경 번역과 문화 변동-1887년 존 로스의 H예수셩교젼서H 번역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2023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