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南冥學硏究 南冥學硏究 제55호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121 - 169 (4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조선시대 유학자들에게는 일상에서 유학 덕목을 실천하는 기초였던심신관리는 修身이며 이를 養生, 養心이라 하였다. 종래 남명학 연구에서 남명이야 말로 자기수양에 철저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남명과 그문파들의 수신 즉 심신관리의 지혜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지 않다. 본고는 덕천서원 유생들의 심신관리 지혜의 모태를 남명이 찬술한 성리학요약서인 學記類編, 또 남명과 그의 제자들의 행적에서 찾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성리학적 질서에서 의학은 도덕적인 수양을 방해하는 잡학이자 자기 몸을 보존하고 부모님께 효를 다하기 위한 일상적인 기술로취급되었고 이는 유학이 시작된 중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유학과 의학은 태동과 발전의 역사에서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다. 특히송 대 신유학에서 신체원리와 병리현상의 개념이 적극 수용되면서 의학의 생명적 세계관이 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었다. 이러한 송대 신유학의 생명적 세계관이 반영된 글이 성리대전과 당대 유학자들의 言表들인데 학기유편에서는 주로 이들의 글이 인용되어 있다. 학기유편에 근거한 생명적・역동적・실천적 세계관은 곽재우, 정인홍, 김우옹, 정구 등의 예와 같이 행동하는 삶의 바탕이자 보이지 않는계율로 작동하였을 것이다. 남명의 심신관리와 치병에 관한 행적은 주로 남명집에서 확인되었다. 남명은 몸을 다스리기 이전에 마음 수양을 기초로 보고 ‘좌우명’, ‘패검명’, ‘혁대명’ 등을 지니고 '‘神明舍圖’를 붙여놓고 평생 ‘銘’으로삼아 실천하였다. 또 남명은 정신을 한 군데에 집중하고자 항상 정좌수행과 猩猩子의 쇠방울 소리, 敬義劍의 날카로운 형태를 통해 수시로의식을 각성시키는 등 특별한 무언가를 갖추고 행하는 심신수양의 방법을 보여주었다. 남명이 일생동안 겪은 질병에 대해서는 9세 때 사망 직전에 이를정도로 심한 질병을 앓았다는 것이 연보의 기록이고 문집에서는 거의40대 이후의 질병과 치료에 관한 내용이 있을 뿐이다. 다만 20년 가까이 반복적으로 기록된 내용을 통해서 남명의 현기증과 두통이 고질적지병으로 확인되었다. 남명의 성정은 자신은 물론 일상다반사에 대해지극히 엄정했다. 이와 같은 그의 성정이 만성적인 피로감과 두통으로이어진 것은 아닐지 추측해 보았다. 남명은 약재를 구하거나 약을 짓는 등 본인과 가족의 질병에 대해직접 치료를 행했던 것으로 나타나 그의 행장 등에 기록된 다양한 분야에 관한 능통하고 의약도 섭렵했다는 구절과 다르지 않았다. 남명과는동시대를 살면서 서로 다른 학문관과 출사관을 가졌던 퇴계와 심신관리, 의료행적을 비교해 보았다. 퇴계 본인은 물론 지인들에 대해 행한다양한 의료 행적이 전하지만 오늘날 유학자의 양생서로서 가장 널리알려진 활인심방의 편저하기도 하였다. 퇴계 뿐 아니라 16세기 이후에는 유학자들의 다양한 양생서가 저술되었다. 그러나 남명 문하에서는 망우당 곽재우의 양심요결이라는 제목만 전하고 있을 뿐 이렇다할 양생서는 전하지 않는다. 남명의 문인 중 한강 정구는 의서저술과 대민의료시설 재건 등을통해 修己와 安人의 실천의지를 보여주었다. 한강은 의서 외에도 대민구제를 위해 성주의국을 설치하였다. 성주의국은 임진왜란 후에 피폐해진 의료시설로 한강은 이를 재건해 대민의료의 기반을 갖추고자 하였다. 한강은 60대에 이르러 개인적으로 내우외환을 겪고 73세에 중풍으로 오른쪽이 마비되기에 이른다. 한강은 중풍 발병 이듬해인 1616년부터 중풍 치료를 위해 온천기행을 시작하여 이후 3년간 지속하였다. 한강의 온천치료를 위한 기행은 제자 이윤우가 기록한 「봉산욕행록」에자세하다. 봉산욕행록은 1617년 7월부터 9월의 기록으로, 45일 동안의 여정, 한강이 매일 반복적으로 목욕요법을 행하고 제자와 관료를접대하는 등의 내용이 쓰여있다. 남명의 또 다른 문인 망우당 곽재우 역시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병으로 나서는 등 남명의 충군애민 실천 의지를 본받고자 하였다. 그러나망우당은 개인적으로 불우했고 관료생활도 평탄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망우당은 불로장생과 신선의 세계에 심취하였고 일반적인 유학자들의 양생이 아닌 수련 양생의 길을 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망우당이50대에 이르러 벽곡조식을 본격화하기 시작하였다. 망우당의 벽곡조식에 대해 허균과 성여신은 한나라 장량에 버금가는 처세술이었다고변호하였다. 한국도교사에서 망우당에 대한 평가는 조선단학파의 맥을잇는 한 사람이고 민간에서는 의병과 신선을 넘나드는 전설적인 인물로, 덕천서원의 유생들에게는 남다른 기개의 선배로 남았을 것이다. 남명을 비롯한 문우, 제자의 박학풍은 남명문파들의 공통된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덕천서원 건립에 참여했던 각재 하항, 남명의 문인내암 정인홍의 제자인 함양 선비 고대 정경운 등의 예와 같이 의약으로자신과 가족을 치료하고, 대민구휼을 위해 사우들과 의론을 펼치는 등남명의 충군애민 실천사상이 재전제자에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3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