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南冥學硏究 南冥學硏究 제55호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1 - 35 (3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덕천서원의 공간과 명칭에 담긴 의미를 심도 있게 고찰한것이다. 서원의 공간구성과 공간명칭에는 그 서원에 제향 되고 있는선현의 학문과 사상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데, 덕천서원의 경우 남명사상이 공간과 명칭에 깊이 투영되어 있다. 덕천서원의 공간구성 가운데 가장 특징적인 부분이 동재·서재의 앞에 方塘을 만들고, 그 연못에 연꽃과 소나무 한 그루씩 심어놓은 것이다. 방당을 만든 것은 주자의 「觀書有感」에서 취한 것으로, 天人合一을지향하는 정신이 깃들어 있다. 또 方塘에 소나무를 심은 것은 소나무와같이 변치 않는 남명의 志節을 드러낸 것이다. 그리고 방당에 연꽃을심은 것은 진흙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지만 언제나 淸香을 잃지 않는연꽃에서 적극적으로 현실정치에 참여하면서도 지조를 잃지 않은 柳下 惠의 모습을 발견한 남명의 현실주의 세계관을 드러낸 것이다. 이를통해 볼 때, 방당은 종합적으로 남명의 出處大節과 隱逸이 아닌 處士로서의 정신지향을 공간에 구현해 놓은 것이다. 공간명칭을 살펴보면, 堂名을 敬義堂이라 하고, 동재·서재의 명칭을사액이 되고 난 뒤 進德齋·修業齋로 바꾸었는데, 이 속에도 각별한 의미가 담겨 있다. 남명선생편년에 ‘남명의 학문은 주역 坤卦 六二爻와乾卦 九三爻에서 터득한 것이 있었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곤괘의 ‘敬 以直內 義以方外’와 건괘의 ‘君子 進德修業 忠信 所以進德也 修辭立其 誠 所以居業也’를 가리킨다. 이를 보면 남명은 敬·義와 忠信·修辭를 공부의 두 축으로 중시한 것을 알 수 있다. 덕천서원 경의당과 진덕재·수업재에는 심성수양의 실천을 강조한 남명학의 핵심을 모두 갖추어 놓았다. 문루의 명칭이 幽貞門에서 왜 時靜門으로 바뀌었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전하는 설이 없다. 그렇지만 여기에도 남명사상이 투영되어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鷄伏堂·雷龍亭 등의 명칭을통해 알 수 있듯이, 남명은 평상시 淵黙 같은 主靜工夫를 위주로 하였으니, 時靜의 의미는 그때그때 수시로 主靜의 涵養을 추구하고자 한 남명의 학문정신을 덕천서원 전체를 포괄하는 문의 이름에 드러낸 것으로보인다. 또한 幽貞의 의미가 현실을 외면하는 듯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현실을 등지지 않은 남명의 정신을 투영하여 바꾼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