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Ⅰ. 머리말
Ⅱ. 不稱姓의 역사적 연원과 그 의미
Ⅲ. 고려 왕가의 不稱姓 특례와 그 의미
Ⅳ. 왕가 불칭성의 고려적 특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826년 『예식통고(例式通攷)』의 편찬과 왕실재정의 정비 노력
역사와현실
2018 .03
왕실 여성의 구개음화 실현 양상 연구-언간 자료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2021 .01
朝鮮初期儀賓의 再婚문제와 그 자손에 대한 처우
역사와실학
2017 .04
13∼14세기 요동 고려인 세력과 고려 왕실의 충돌
한국사연구
2018 .06
조선시대 해주정씨의 王室婚과 家計經營
역사민속학
2015 .03
家系와 婚脈을 통해서 본 仁興君家의 政治ㆍ社會的 位相
문화사학
2022 .12
朝鮮 官窯에서의 私燔 실태와 영향
역사와 담론
2018 .04
조선시대 왕실여성의 사인(死因) 유형과 임종장소 변화 - 후궁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
2021 .12
Clashes between Liaodong Koreans and the Goryeo Royal House in the 13th to 14th Centuries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0 .06
일제강점기 이왕가(李王家) 재산의 구성과 관리 - 기본재산(基本財産)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15 .01
일제강점기 이왕가(李王家)의 세습재산
인문사회과학연구
2017 .01
율곡 대동사회론의 철학적 지향과 해석의 전환
동서철학연구
2016 .09
가족 의사소통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 연구 : 대학생 자녀를 둔 가정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2015 .06
제왕신탁의 관점으로 본 “다윗의 마지막 말” (사무엘하 23장 1-7절)
구약논단
2018 .03
7세기 동아시아 정세에서 본 上宮王家 멸망사건
역사학보
2015 .12
고려중기 최씨무신집정가의 공적 위상과 특권 - ‘제왕가(諸王家)’로서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
2024 .12
司法문제를 통해서 본 몽골 복속기 고려국왕 위상 : 다루가치 · 管軍官 체재기의 ‘雜問’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2016 .03
기록으로 살펴 본 조선시대 왕실하사 은기의 변화 양상
강좌 미술사
2020 .01
분원공소기(分院貢所期, 1883-1895) 왕실용 백자의 진상체계와 진상용 백자의 성격 : 분원자기공소절목과 하재일기의 비교분석을 통해
역사와 담론
2017 .01
조선『璿源錄』중종 공주·옹주 계열 후손의 연혼 양상과 그 성격
古文書硏究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