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I. 머리말
II. 「광개토왕비」 수묘인연호조의 구성과 ‘차착’ 발생 원인
III. 「집안고구려비」에서의 ‘차착’ 문제와 건립 시기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Stele of Koguryŏ in Ji’an with Regard to Koguryŏ’s Reorganization of Sumyoj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7 .08
불만표명행위의 상호작용에 대한 한중일 대조연구 -부담도의 차이를 중심으로-
일본어학연구
2021 .06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의 『장사(大力)』론 - 웃음(笑い)을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15 .01
고구려 율령의 형식과 제정방식 : <광개토왕비>와 <집안고구려비>의 사례 분석
목간과문자
2016 .06
?人?係に?じた「共話的反?の型」の使い分け
일어일문학연구
2015 .11
≪?代???典≫中的同音同??小考
중국언어연구
2021 .01
19세기말 조선의 근대 외교질서 수용의 한 양상 : 대일(對日) 사절단의 명칭과 사행원역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2019 .03
재일작가의 이중의 마이너리티 서사 연구
일본문화학보
2018 .05
廣開土王陵 守墓制 論議
동아시아고대학
2016 .01
금강하류지역 청동기시대 묘제의 제사·의례적 성격 고찰
한국고고학보
2022 .12
금강하류지역 석관묘제의 구조와 성격 -청동기시대 묘제의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예비적 검토-
선사와 고대
2021 .08
山東 龍山文化의 墓制와 葬俗特徵 檢討
중국사연구
2017 .01
시행학습(trial-learning)의 이론, 전략 그리고 실천
중국어문논역총간
2017 .01
대만과 일본의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대조 연구
이중언어학
2020 .01
差點兒没 구문의 差點兒, 没와 동의⋅중의 관계
중국언어연구
2022 .08
어휘 오류에 대한 진단적 차원의 이해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말연구
2017 .01
한국어 학습자 오류 원인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의 조사 오류를 중심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2020 .01
송국리형 묘제의 검토
한국고고학보
2015 .01
해방과 점령, 전후와 냉전의 교차-시모타 세이지의 ??오키나와섬??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연구
2021 .01
교양 초급 일본어 지도에 관한 일 제언 -레벨 차 극복을 위한 수업 실천을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9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