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머리말
Ⅰ. 다루가치 · 管軍官의 체재와 사법권 행사 사례 및 양상
Ⅱ. 고려국왕 · 다루가치 · 管軍官의 ‘雜問’과 국왕 위상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3∼14세기 요동 고려인 세력과 고려 왕실의 충돌
한국사연구
2018 .06
Personal Trajectories and National History: Why the Goryeo People Went to the Mongol Empire and How They Lived There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4 .12
고려 내 다루가치의 존재 양상과 영향 : 다루가치를 통한 몽골 지배방식의 경험
역사와현실
2016 .03
몽골 -고려 군사동맹 관계 : 양국관계를 조망하는 하나의 관점
역사와 담론
2018 .10
13~14세기 고려 지식인의 시대 인식과 정체성
역사와현실
2020 .03
고려의 ‘不稱姓’의 특권과 王家
역사와 담론
2018 .01
고려후기 무관층의 구성과 기능 분석 : 『고려사』열전 등재 인물을 중심으로
역사와실학
2015 .04
고려가 몽골제국에 바라는 것 - 김구(金坵)의 외교문서에 표현된 원종 대 양국관계의 재구성 -
한국사연구
2022 .12
고구려인가 기자조선인가: 몽골제국에서 고려 역사상의 경합
역사와현실
2022 .09
몽골황제권의 작용과 고려국왕의 사법적 위상 변화
동국사학
2016 .01
13세기 초 몽골의 ‘位階’ 지배 시도와 麗蒙 관계의 시작
한국사학보
2015 .11
고려-몽골(원) 관계사 연구를 위한 노력과 종합적 시각의 모색
역사학보
2025 .03
고려국왕의 征東行省 保擧權 장악과 그 의미
史叢(사총)
2017 .01
역사·한국사 교과서 ‘고려‐ 몽골 관계’ 서사 재구성 제안
역사교육
2021 .12
주몽고려, 궁예고려, 왕건고려, 코리아의 단절과 계승
역사와현실
2018 .09
고려후기 權署征東行省事설치의 양상과 배경
한국사연구
2018 .09
고려 충선왕의 직물생산 전략 연구
한국사연구
2018 .03
고려 국왕 즉위에 관한 외교 형식의 변화와 의미
역사문화연구
2023 .05
고려는 어쩌다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로 인식됐을까
역사와현실
2021 .09
대립에서 공존의 시대로 -13세기 강원지역과 몽골제국의 만남을 중심으로-
江原史學
202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