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1. 들뢰즈의 방법
2. 들뢰즈의 방법의 의미: 형이상학의 자기 정당화
3. 결론: 칸트 이후의 새로운 경험적 형이상학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지속과 ‘차이의 존재론’ : 베르크손과 들뢰즈(Ⅱ)
철학사상
2016 .08
형이상학의 변형 - 강한 이성에서 약한 이성으로
철학연구
2022 .03
들뢰즈 체계의 형성 배경에 대한 연구: 칸트 선험철학 체계 그 심연으로부터의 역류
대순사상논총
2021 .01
들뢰즈의 미학은 '어떤 의미에서' 존재하는가? - 랑시에르의 「들뢰즈의 미학은 존재하는가?」에 대한 반론
美學(미학)
2017 .01
Der Weg zur intelligiblen Welt bei Kant
인문연구
2015 .08
들뢰즈의 라이프니츠론에 대한 연구 - 『차이와 반복』과 『의미의 논리』를 중심으로 -
철학연구
2019 .05
Deleuze in the Age of the Theological Turn
비평과이론
2017 .01
들뢰즈 마르크스주의는 가능한가?
철학연구
2019 .08
코레트의 ‘지평으로서 형이상학’
철학연구
2022 .03
들뢰즈와 바디우의 다자성 개념 : 두 철학자의 논쟁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7 .06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에서 본 형이상학의 시작, 플라톤
철학탐구
2015 .11
칸트와 들뢰즈 철학에서의 시간의 순수 형식
철학사상
2024 .08
‘지혜론’으로서의 칸트 ‘형이상학’에 대한 고찰 - 칸트『형이상학의 진보』에서 ‘자유’, ‘신’, ‘영혼불멸’의 “실천적 실재성” 증명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2017 .03
들뢰즈와 화이트헤드: 초월론적 경험론과 사변적 경험론 - 사건, 파악, 응시, 수축, 만족을 중심으로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9 .06
『형이상학』12권과 『원인론』의 관계에 대한 토마스의 해석의 재구성
중세철학
2021 .12
자연과학과 형이상학 그리고 철학의 미래 : 형이상학은 죽었는가?
새한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11
분열분석(들뢰즈), 정신분석 그리고 헤겔 철학에 관한 비교 연구 2 :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에서의 동적 발생 이론과 클라인, 프로이트, 라캉 정신분석의 관계를 중심으로
현대정신분석
2022 .02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 』에 관한 연구 : ‘형상’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7 .02
하이데거의 해체 전략 :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신학과세계
2016 .06
박홍규와 형이상학
서양고전학연구
2019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