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배제된 타자, 잉여적 존재
3. 윤리적 아포리아에서의 선택
4. 무위의 공동체를 향한 움직임과 시선
5. 환대와 죽음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경계를 횡단하기 위한 서사전략 -장률 영화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21 .12
서구 현대 공동체론—무위의 공동체와 도래하는 공동체를 중심으로
비평과이론
2022 .10
조선족 디아스포라와 경계인의 거리(距離) 문제 연구 - 장률의 영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후쿠오카〉, 〈경주〉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24 .12
장뤼(張律) 영화의 공간 표상 - 영화 <풍경>과 <경주>를 중심으로
중국소설논총
2016 .01
도시의 공동체와 통제: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중국지식네트워크
2022 .11
실천 공동체에 함의된 연대 그리고 로컬리티 : 커뮤니티 아트를 중심으로
로컬리티 인문학
2016 .04
무위(無爲)의 공동체와 민속의 공동(共同)성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2021 .03
비엣 탄 응우옌의 『난민들』 속 난민 공동체 연구
현대영어영문학
2021 .11
한국고대사 연구와 공동체 이론
한국고대사연구
2016 .03
農巖계열 문인의 陸遊 관심에 대한 일고찰 : 申靖夏를 중심으로
민족문화
2016 .06
보편성과 심미적 가상 그리고 공동체-백석과 김수영의 시에 나타난 ‘사랑의 현상학’을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5 .01
혁명문학논쟁과 루쉰의 혁명문학관
중국어문논총
2017 .01
원주 서곡 마을공동체 연대의 함의
비교민속학
2022 .04
공동체 만들기의 정치:이념, 담론, 실천
인문학연구
2018 .01
錢鍾書의 陸游論
중국어문학
2015 .01
20세기 후반 이후 공동체문화의 실천양상과 변화 -3년간의 연구단 현장사례를 조명하며-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2021 .09
Study on Community Integration and Community Governance of Korean Residents in Tianjin International Community Amid the Covid-19 Pandemic
재외한인연구
2021 .10
백석 시의 숭고–공동체
한국근대문학연구
2020 .04
무비판적 공동체 담론의 문제와 대안
인문콘텐츠
2019 .12
파편들의 리듬 - 張律 영화의 장소(place) 문제
중국문학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