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국조오례의고이’의 편찬 목적과 구성 형태
3. 국조오례의고이의 내용과 『國朝續五禮儀』 구성의 한계점
4.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조대 왕실연향의례의 국가전례 편입과 설행의 특징
국학연구
2024 .07
『國朝五禮儀』 賓禮에 편성된 對明儀禮의 특징과 朝鮮의 의도
한국사학보
2021 .08
영조대 <國朝續五禮儀補> 편찬과 왕세손 의례의 정비
동양고전연구
2023 .03
정조대 『국조오례통편』 편찬의 정치적 배경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0 .09
조선시대 회곽묘의 도입 배경과 양상
한국사연구
2017 .03
조선후기 王朝禮와 私家禮의 변주 ―國恤 중 사가례 논의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8 .01
高句麗王號 ‘太祖王’의 정립 과정과 의미
한국사연구
2017 .09
國朝列聖御筆 所載 조선초기 국왕문서 -太祖代 官敎와 世祖代 免役敎旨-
古文書硏究
2016 .01
조조의(朝祖儀)의 공간 및 설행에 대한 논의와 그 의의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1 .06
조선 초 迎勅儀禮의 성립과정과 그 특징
역사문화연구
2022 .02
피터리의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의 의의와 한계
고전과 해석
2016 .01
英祖代 凱旋 儀禮의 整備와 그 意義
태동고전연구
2015 .01
효명세자의 상장례와 代理聽政 세자의 위상
동양고전연구
2019 .01
許筠이 본 蘇齋 盧守愼 詩의 美的 특질 -國朝詩刪의 批評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21 .01
조선시대 객사 행례와 안성망궐례 재현
한국학연구
2023 .09
性齋 許傳의 深衣 연구
동양학
2021 .01
朝鮮과 明의 淫祀와 城隍祭儀 인식과 대응 비교연구
역사와 세계
2021 .12
고려전기 기신의례(忌辰儀禮)에 보이는 공간과 동선, 그리고 왕권의 재현
역사와현실
2024 .06
정조 연간(1776-1800) 백자 연구의 諸문제
강좌 미술사
2022 .12
三國志演義 初期 텍스트 연구― 3種 朝鮮唯一本 포함 諸版本對校例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소설논총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