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시대 횡혈묘의 출현과 구조
울산사학
2016 .12
안성천유역 원삼국∼한성백제기 마한 세력의 동향
고고학
2021 .12
나말여초 분묘 변화에 대한 시론적 검토 : 중서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중세고고학
2017 .06
평양 지역 고구려 왕릉의 위치와 피장자
한국고대사연구
2017 .12
대구 구암동고분의 구조와 특징
야외고고학
2022 .03
전북지역 조선시대 토광묘 변화양상 연구
건지인문학
2024 .02
대구 달성고분군의 편년과 성격
야외고고학
2020 .01
서울 석촌동 집단토광묘의 구조와 축조배경
백제학보
2019 .01
영산강유역 원형분의 출현 배경과 의미
야외고고학
2018 .01
신라 전기 적석목곽분의 묘형과 집단복합묘군의 성격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7 .01
경주 탑동 적석목곽묘의 구조적 요소와 특징
야외고고학
2024 .03
금강하류지역 석관묘제의 구조와 성격 -청동기시대 묘제의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예비적 검토-
선사와 고대
2021 .08
중서부지역 주구토광묘의 등장기 묘제상 검토
선사와 고대
2018 .01
석촌동 1호분 북쪽 연접적석총의 구조와 성격
고고학
2021 .08
고려시대 묘역식분묘의 위계와 특징 -남한지역을 중심으로-
중앙고고연구
2023 .02
고려시대 장묘제(葬墓制)와 봉분(封墳)의 형태 : 마렵분(馬鬣墳)의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중세고고학
2017 .12
연접묘를 통해 본 고구려 적석총의 전개 과정
중앙고고연구
2020 .01
공주 송산리 6호분의 구조적 특징과 주인공 문제
한국고대사연구
2021 .12
남강 유역 청동기시대 분묘의 경관 -진주 대평리·평거동·초장동 유적을 중심으로-
한국청동기학보
2023 .04
백제 웅진기 왕릉의 입지와 공간변화
백제문화
2024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