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2017
2016
2014
2013
〈요약문〉
Ⅰ. 머리말
Ⅱ. 금강경의 사상(四相)에 대한 번역 검토
Ⅲ. 상(相)과 상(想) 번역상의 개념과 문제
Ⅳ. 사상에 대한 원불교적 해석 방향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산 송규의 『금강경해』에 대한 고찰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3 .06
13세기 전반기 간행한 『금강경』 사례들과 사상적 의미
석당논총
2015 .01
죽음의 서사와 삶에 대한 염원 -≪太平廣記?報應篇?金剛經≫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
2021 .12
신지혜 시에 나타난 『금강경』의 생태사상
문학과환경
2018 .06
백성욱의 『금강경』 독송 수행법 실천사례 연구
대각사상
2021 .12
몽고문 『금강경』의 번역적 특징에 관한 고찰 - 범본·한역·티베트어 역과 비교하여 -
禪文化硏究
2024 .06
敦煌 〈金剛般若波羅密經講經文〉에 대한 불교문학적 연구
중국어문논역총간
2025 .01
현대 병든 사회의 치유와 통합을 위한 원불교적 접근 : ‘삼학’(三學)의 ‘정신수양’과 ‘사요’(四要)의 활용
원불교사상연구원 학술대회
2016 .02
간접번역과 번역교육: 금강경에 포함된 붓다의 명호번역을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2019 .10
『금강경』의 윤리교육적 함의
윤리연구
2017 .01
선불교(禪佛敎)와 평화의 두 원천: <금강경(金剛經)>을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2019 .01
19세기 유럽에서 발행된 만문(滿文) 『금강경』에에 관한 연구
한국불교학
2020 .01
滿文『金剛經』의 내용과 특징
한국불교학
2016 .01
법공양(法供養)과 법보시(法布施)에 대한 비교 고찰 - 『금강경』·『유마경』·『법화경』 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불교문화
2023 .04
무아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석의 양상들__니까야(Nikāya)에 나타나는 ‘실천적 무아’와 비교를 위한 시론__
인도철학
2017 .01
원불교 문화콘텐츠 현황과 문화인프라 구축 방향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8 .03
구사론 파아품에 나타나는 무아(無我, anattan)의 변용 I - 5가지 사례를 통한 니까야의 무아 유형과 비교
불교학연구
2022 .06
초기불교 무아설의 유형에 대한 검토와 분류 I
불교학연구
2021 .12
종교의 사회적 구제와 민중종교론에 나타난 사회참여 -원불교의 평화운동과 교단 변혁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6
A Study on Chinese Character-Korean Translation of Causeand Effect in the Text of the Diamond Sutra
통번역교육연구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