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한석환 (숭실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수사학회 수사학 수사학 제25집
발행연도
2016.4
수록면
267 - 294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t is the aim of this paper to examine Aristotle’s concept of rhetorical persuasion. To achieve this goal must analyze the concept in comparison to ① other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② belief formation, and ③ practical judgment, the prohairesis. It follows: ⑴ Basically, the process of belief formation follows the same structure as any type of teaching and learning. ⑵ In a passage of De an. III 3 Aristotle says: The persuasion follows the logos, an exclusively human ability. The process of persuasion should make itself out to be a basic rational process. ⑶ The rhetorical effort is aimed at the judgment of the listener, which differs from the practical judgment in narrower sense, that is prohairesis, in that it is not immediately effective for action. The judgment, which the speaker tries to create, therefore, belongs, despite the practical object, to the family of theoretical judgments.

목차

Ⅰ. 설득 : 수사학의‘외적 목표’
Ⅱ. 설득의 구조: 교수학습-과정과 다르지 않다
Ⅲ. 설득의 구조화 : 의견형성 과정과 다르지 않다
Ⅳ. 수사학적 판단은 ‘프로하이레시스’와 같지 않다
Ⅴ. 맺음말 : 수사학적으로 설득된다는 것의 요체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802-001018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