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19세기 전반기 『征韓偉略』의 임진왜란 해전, 이순신 이해
Ⅲ. 19세기 말 『豊太閤征外新史』의 임진왜란 해전, 이순신 이해
Ⅳ.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다이쇼 데모크라시시대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의 국가의식 - 이사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와의 비교를 통하여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0 .11
円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에 기록된 船舶部材 ‘누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역사학연구
2018 .11
論語 木簡을 통해 본 東아시아 論語 傳播
민족문화
2022 .03
日本 木簡硏究의 시작과 현황
목간과문자
2015 .06
뮬란의 정치학 : 「木蘭詩篇」에 나타난 문화개방 및 소수민족 정책
중어중문학
2016 .12
신 출토 월성 해자 목간의 재검토
신라사학보
2024 .12
목어木魚 외 1편
시조시학
2023 .06
목간(木簡) 자료를 통해 본 고대 동아시아세계
동서인문
2019 .10
한국 漢詩의 「伐木」 수용 양상
동방한문학
2016 .01
論語 木簡을 통해 본 東아시아 文化 交流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20 .09
한국 최초의 언어학적 ‘木簡’ 연구서 [서평] 이승재(2017), 木簡에 기록된 古代 韓國語, 일조각, 616쪽.
인문논총
2018 .01
『今昔物語集』의 창의성 고찰 -역사와 설화 사이-
일본연구
2021 .12
길상목吉祥木 회화나무
숙명문학
2015 .03
“木簡 專刊號” 특집에 부쳐
동서인문
2023 .08
「초목화훼(草木花卉)」에 보이는 식물명 고찰
인문과학연구
2017 .01
日本 古代史의 研究와 木簡
목간과문자
2016 .12
향목(香木)과 와카(和歌)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9 .04
[문학 · 문화학] 한국 호랑이의 문화 상징적 가치와 의미
국제언어문학
2019 .04
가시와기 기엔(柏木義円)의 기독교 사상과 실천에 대한 연구
日本思想
2018 .01
사이고쿠 순례 관음상 유래설화의 신목(神木)과 신불습합 신앙―『西国三十三所觀音靈場記圖會』의 관음설화를 사례로 하여―
일본문화학보
2025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