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기
2. 사이고쿠 순례 사찰의 관음상 종류와 의미
3. 신목(神木)으로 제작한 관음불상의 신불습합 양상
4. 나가기
참고문헌
要旨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다이쇼 데모크라시시대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의 국가의식 - 이사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와의 비교를 통하여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0 .11
일본 신도 속 샤머니즘 연구 : 神道의 天皇 小考
일어일문학
2016 .08
전후 한국에서의 국가신도(國家神道) 시설의 변용 : 국내에 건립된 신사와 신사터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6 .02
神道의 조선 유입에 관한 재검토 : 교파신도의 조선포교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8 .06
불복장의식의 전개와 계승의 가치 - 묵담과 수진의 사자상승을 중심으로 -
남도문화연구
2021 .08
Creating the Sacred and the Secular in Colonial Korea
Journal of Korean Religions
2021 .10
가토 겐치의 국체신도 개념 - 21세기 국가신도 논쟁과 ‘신황신앙’의 문제
용봉인문논총
2023 .04
「교적의(敎迹義)」 텍스트의 변천 연구(1)-법상「교적의」에서 대승의장 「중경교적의」로의 변용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
2020 .01
이광수 문학의 정신적 지주
춘원연구학보
2023 .07
円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에 기록된 船舶部材 ‘누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역사학연구
2018 .11
혼합현상에 관한 이론적 고찰: 종교문화의 만남을 서술하기 위하여
종교문화비평
2018 .01
한국불교와 민간신앙의 혼합현상
한국사상과 문화
2019 .01
근대 일본인 해외이주의 궤적과 신도(神道)의 역할 - ‘제국의 확장’과 ‘국가정체성 강화’ 간의 괴리를 중심으로 -
日本思想
2015 .01
5-6世紀 中國 造像記 자료 및 연구 성과의 소개와 과제
중국고중세사연구
2017 .05
『일본서기(日本書紀)』 인덕기(仁德紀) 41년조의 사실성 검토와 사료적 활용
역사와현실
2021 .06
중국 조선어 방언의 영상 및 음성 코퍼스 구축 실행방법에 대한 고찰 : 할빈지역 경상도방언 제보자를 실례로
중국조선어문
2017 .09
유가지관(瑜伽止觀)에 나타난 의미[artha, 義]에 대한 고찰 - 해심밀경(解深密經)「분별유가품(分別瑜伽品)」을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2016 .12
김교신의 신사참배 인식 연구
신학논단
2020 .09
論語 木簡을 통해 본 東아시아 論語 傳播
민족문화
2022 .03
日本 木簡硏究의 시작과 현황
목간과문자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