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翁草』「細川家の香木」사건
2. 香木과 和歌
3. 『翁草』의 ‘이치보쿠삼메(一木三銘)’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무가(武家)의 향(香)과 향목(香木)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7 .04
2010년대 한국과 일본의 편의점, 점원, 사회, 문학 : 무라타 사야카(村田沙耶香)의 『편의점 인간』과 박영란의 『편의점 가는 기분』
한국학연구
2017 .12
다이쇼 데모크라시시대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의 국가의식 - 이사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와의 비교를 통하여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0 .11
향목(香木)과 와카(和歌)
일어일문학연구
2019 .01
[빛으로 색으로-1회] 화가들은 왜 밖으로 나갔을까?
월간에세이
2023 .11
문학작품에 묘사된 ‘향’ -『우미인초』를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23 .10
아쿠타가와(芥川竜之介) 소고찰-사랑과 노래(和歌)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9 .11
平安時代の和歌における「菊の露」について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빛으로 색으로] 색의 독립성을 가져온 화가
월간에세이
2023 .12
『源氏物語』の韓国語訳の比較検討―2010年以降を中心に―
日本學硏究
2022 .09
일본 침향목 표착의 서사(context) - 고대 한일 향물(香物)교류 네트워크 -
일본어문학
2022 .05
일본의 후각문화와 향(香)
동아인문학
2015 .09
생(生)의 빛과 향으로
월간에세이
2020 .10
円仁의 『入唐求法巡禮行記』에 기록된 船舶部材 ‘누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역사학연구
2018 .11
李家源≪春香歌≫之特色与成就(이가원 ≪춘향가≫의 특색과 성취)
연민학지
2019 .01
한·일 궁정문학의 문예사적 의미 -헤이안 시대의 와카와 조선의 궁녀 한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2022 .09
『마쿠라노소시』에 묘사된 ‘향’의 용례 고찰
일본문화연구
2024 .01
結社로서의 윤리와 경제 공동체 -조선 후기의 香徒와 洞約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1 .01
淸代宮廷戲《天香慶節》的演出技法和意義
중국문학
2015 .01
20세기초 일본인과 조선인의 「춘향전(春香傳)」 근대화 작업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