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論語 木簡을 통해 본 東아시아 論語 傳播
민족문화
2022 .03
日本 木簡硏究의 시작과 현황
목간과문자
2015 .06
한국 多面木簡의 발굴 현황과 용도
목간과문자
2019 .12
일본 출토 고대 목간 : 9세기 지방사회의 쌀의 출납 장부
목간과문자
2017 .06
日本 古代史의 研究와 木簡
목간과문자
2016 .12
신 출토 월성 해자 목간의 재검토
신라사학보
2024 .12
18세기 서울 여성 연안이씨(延安李氏)가 안동 하회 며느리로 사는 방식 - 시아버지 류운의 한글 편지를 중심으로 -
여성과역사
2024 .06
6~7세기 한국 목간을 통해서 본 일본 목간문화의 기원
신라사학보
2016 .08
한국 최초의 언어학적 ‘木簡’ 연구서 [서평] 이승재(2017), 木簡에 기록된 古代 韓國語, 일조각, 616쪽.
인문논총
2018 .01
大寶律令 施行에 따른 일본사회의 변용과 한국목간
목간과문자
2019 .06
다이쇼 데모크라시시대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의 국가의식 - 이사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와의 비교를 통하여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0 .11
論語 木簡을 통해 본 東아시아 文化 交流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20 .09
신 출토 경주 월성 해자 묵서 목간 소개
목간과문자
2018 .06
한국 고대목간의 연구현황과 과제
신라사학보
2016 .12
한국 목간에 보이는 “某月中”
목간과문자
2019 .12
고대 목간의 형태 재분류와 고려 목간과의 비교 : 성산산성 목간을 중심으로
목간과문자
2016 .06
高麗大學校所藏燕行文獻≪華簡≫淺考
중국어문논총
2018 .01
新羅 文書木簡의 기초적 검토 – 신 출토 월성해자 목간을 중심으로
영남학
2021 .01
목간을 통해 본 사비도성의 구조와 기능
사림
2017 .01
“木簡 專刊號” 특집에 부쳐
동서인문
2023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