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Abstract
1. 서론
2. 경험의 경로
3. 경험에서 경세 저술로
4. 결론을 대신하여: 다산이 세상을 보던 창(窓), 강진 유배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강진 다산문화의 활용 현황과 과제
다산과 현대
2020 .12
[기조강연] 다산과 강진 - 다산학과 강진의 다산문화
다산과 현대
2020 .12
중앙과 지방의 학술 소통 : 다산학과 다산학단
다산과 현대
2015 .12
‘다산학 전승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다산과 현대
2019 .12
다산 정약용의 강진 유배와 문학적 형상화 -소설 목민심서, 다산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2019 .01
1894년 강진지역 동학농민전쟁과 다산 정약용의 『경세유표』
다산과 현대
2015 .12
다산의 저술과 학술교유 - 대산 김매순의 경우
다산과 현대
2020 .12
동강 이의경의 생애와 사상
민족문화연구
2018 .01
다산 정약용의 『대학』 이해와 그 정치사상적 의미
태동고전연구
2020 .01
장기(長鬐) 유배기 다산(茶山) 시의 향방(向方)과 성격
한국문학논총
2021 .12
조선학에 비친 다산
다산과 현대
2017 .12
재난의 관점에서 바라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염우부(鹽雨賦)〉
민족문화연구
2024 .02
정약용의 불교 이해와 차 문화 향유
남도문화연구
2019 .01
고려시기 강진지역의 군현변동과 도시성격
다산과 현대
2016 .12
Feature Book Review: The Analects of Dasan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9 .08
성호학파에서 다산 정약용 역학의 성립과정(Ⅲ) –이익, 신후담의 역학에서 정약용의 역학으로
한국철학논집
2017 .05
다산의 강진 유배와 기근
역사와실학
2016 .11
Dasan’s Philosophy of Law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23 .02
조선후기 경세서의 예제와 그 성격-<<목민심서>>를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
2018 .01
Power and Violence between the Choosers and the Chosen in the Thought of Dasan Jeong Yak-yong
Korea Journal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