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곡산기생 매화」 - 애정서사로의 허구화
3. 「이관원」 - 사실과 정치적 인식의 혼재
4.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야담에서의 가문서사-계서잡록(溪西雜錄) 연구의 한 시각
韓國古典硏究
2021 .01
『계서잡록』 4권 소재 야담의 서사방식-『동패락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야담 활용 연구 현황과 교육 사례
국학연구론총
2019 .01
隋唐時期 李禎墓誌 관련 문제 검토
신라사학보
2023 .04
도암 이재와 그 문인들의 낙학(洛學)적 사유
한국철학논집
2020 .01
조선후기 악부(樂府)에 표상된 왕조 창업의 내력 -선초(鮮初) 악장(樂章)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고전과 해석
2021 .12
야담의 근대적 전환과 그 시대적 재편 양상--김동인의 『야담(野談)』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
2023 .06
야담에서 정치적 시각을 구현하는 양상 - 『靑邱野談』의 경우 -
동양한문학연구
2017 .02
1930년대 야담잡지 소재 연성흠의 야담 기술과 의미
우리문학연구
2023 .07
『國朝名臣言行錄』의 일고찰
고전과 해석
2024 .08
파주 화석정의 역사와 문화사적 의미
한국한문학연구
2024 .04
홍명희 <임꺽정>의 전대 야담 수용 양상과 의미
고소설연구
2023 .06
야담문학의 전통과 변형, 그리고 한계 - 1920∼30년대 야담운동을 중심으로 -
영주어문
2021 .10
도스토예프스키의 독자로서의 이상(李箱)
한국문예비평연구
2022 .06
崔永年의 <詩家叢話>를 중심으로 살펴본 19세기 말~20세기 초 문인들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9 .01
신문관 발행 잡지 『아이들보이』에 수록된야담의 양상과 의미
한민족문화연구
2019 .01
이상정(李象靖)의 『퇴계서절요(退溪書節要)』 편집 방법과 목적
퇴계학논집
2019 .01
19세기 강화학파 학자들의 현실 인식과 대응 논리― 李是遠과 李建昌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18 .01
『주역정의』의 유가적 특색
철학논총
202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