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溪西雜錄』 異本考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溪西雜錄』의 轉移樣相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계서잡록』 4권 소재 야담의 서사방식-『동패락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唐宋史料筆記에 보이는 ⾼句麗 관련 기록 연구
백산학보
2024 .08
『임진기록壬辰記錄』을 통해 본 정탁鄭琢의 임진전쟁 기억과 전쟁기록
국학연구
2023 .07
조선후기 신국가 구상의 전통과 경세유표(經世遺表)
다산과 현대
2017 .12
『계서잡록』(溪西雜錄)을 통해 본 병신옥사 (丙申獄事)의 서사화 - 서사의 정치성에 주목하여 -
한국학논집
2025 .03
『溪西雜錄』에 나타난 奇異의 특징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9 .01
沈守慶의 『遣閑雜錄』에 나타난 자기서사적 양상
고전과 해석
2019 .01
李睟光(1563~1628)과 鄭經世(1563~1633)의 道文論과 사상적 차이
한국한문학연구
2021 .09
연민 이가원의 퇴계학(退溪學) 연구에 대한 소고
연민학지
2019 .01
야담 활용 연구 현황과 교육 사례
국학연구론총
2019 .01
錦溪 黃俊良의 역사의식과 의리관 고찰 - 士宦期 前期의 글들을 중심으로 -
영남학
2022 .03
磻溪 柳馨遠의 역사의식과 東國史 서술 구상 -『磻溪雜藁』 소재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
2017 .01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견해를 통해 본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의 ‘리(理)’ 개념
한국철학논집
2017 .02
야담에서 정치적 시각을 구현하는 양상 - 『靑邱野談』의 경우 -
동양한문학연구
2017 .02
퇴계의 경사상과 『활인심방』에서의 마음치유
인문과학연구
2017 .06
야담의 口演 현장과 敍事雜錄으로의 전환 -임진왜란 평민의병 諸沫의 일화를 중심으로-
漢文學報
2022 .06
屛山書院의 역할과 위상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21 .01
『청구야담』『버클리대본』의 제목 붙이기와 짝 만들기
우리말글
2020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