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서론
2. 유물과 그림으로 남은 울산성 전투
3. 지명과 제의에 남은 울산성 전투
4. 전승으로 남은 울산성 전투
5. 결론
참고문헌
REFF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군 기록으로 본 울산성 전투와 전투 직후 일본군의 동향
한일관계사연구
2024 .08
울산달리농악의 연행 현황과 판제
공연문화연구
2019 .01
도시 정체성 재구성을 위한 전통 복원 양상과 곤경 : 울산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20 .11
임진전쟁 시기 주요 전투의 의미와 성격: 대첩을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23 .04
향토성에 의한 울산덧배기춤의 형상화에 관한 연구
공연문화연구
2020 .01
해양으로 본 임진전쟁기 울산전투의 역사적 의미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3 .10
임진왜란시기 합천지역의 의병 활동과 전투
동양고전연구
2018 .01
울산의 6월항쟁과 노동자 참여
역사와경계
2018 .12
울산시 도시재생 사업과 문화활동의 연계성에 대한 사례연구 -울산시립미술관과 아트프로젝트 울산 사례를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2019 .01
임진전쟁기 경주 안강 전투와 강화교섭 국면의 변동
한국사학보
2016 .02
울산 지역 문집의 현황과 과제사적 위상
동양한문학연구
2016 .02
왜란 직후의 울산 소모군 : 1609년 울산부호적대장을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15 .09
임진전쟁 초기 이광의 활동과 용인전투에 대한 재고
史叢(사총)
2016 .01
울산매구치기의 성격과 구조에 관한 고찰
공연문화연구
2020 .01
울산덧배기의 전승을 위한 기본교육과정 연구
공연문화연구
2019 .01
임란시 상주 북천전투의 실상과 현창사업
역사교육논집
2017 .01
울산덧배기의 인식과 형상에 의한 도상 기록
무형유산
2019 .01
박정희 정권 초기 공업센타 울산의 건설계획과 추진
역사와현실
2019 .06
임란공신 金太虛의 행적과 후손들의 顯彰 노력
한국민족문화
2018 .05
해방 이후 울산 공업항 건설을 둘러싼 논의와 추진과정
역사와경계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