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머리말
Ⅰ. 일제강점기 3·1운동 참여와 여기자 활동
Ⅱ. 해방 후 ‘여성 정치’ 참여 확대 활동
Ⅲ. 1948년 5.10 총선 출마와 행정부 진출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여성의원의 입법 활동(1946-1948): ‘여성의원 특별취급안’을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
2016 .01
중국 자이융밍(翟永明) 시의 ‘검은 밤의 의식’과 죽음 콤플렉스 ―연작시 “여인”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2024 .09
미군정기 여성의원 할당제 논의와 귀결
여성과역사
2024 .06
한일 근대 여성작가의 탄생과 정체성 연구
어문론집
2016 .06
최매지의 민족운동과 사회활동
여성과역사
2019 .01
해방 후 좌익계 여성운동의 방향과 한계: 잡지 『女性公論』을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
2017 .01
신여성과 패션 그리고 오스카 와일드의 미학론
19세기 영어권 문학
2018 .08
‘여성혐오’의 문학문화사(II)- 1898~1910년을 중심으로
석당논총
2017 .01
여대생의 성찰을 통해 본 한국사회 여성 리더십의 의미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
2016 .01
3·1운동과 그 이후, 여성의 현실 참여
인문과학연구
2019 .01
1930년대 중국소비에트구의 여성운동
사림
2017 .01
근대 계몽기 신문 소재 논설의 여성문제와 여자교육 담론의 분포와 의미
인문과학연구
2021 .09
한국 근대 여성문학의 탄생과 형성 ?근대 초기∼식민지기?
개념과 소통
2020 .01
현대 일본의 ‘애국여성’과 ‘반(反)위안부’ 활동
역사비평
2018 .05
서양과 한국의 근대여성운동, 그리고 근화여학교
인문과학연구
2018 .01
Reading Church Women hybridity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 Feminism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2023 .06
1950년대 ‘직업여성’ 담론을 통해 본 여성들의 일과 결혼 : 정비석의 『여성전선』, 『세기의 종』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9
1980년대 한국 여성 국회의원들의 젠더 정치와 ‘여성주의 리더십’
여성과역사
2020 .01
여성 비례대표 의원들의 임기 후 경력선택
담론201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