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5세기 김종직의 학문기조와 사상적 특색
한국철학논집
2016 .11
김종직의 한국도학사적 위상
한국철학논집
2022 .02
愚齋 孫仲暾의 金宗直 門人說 考察 -愚齋先生實記 편찬과정을 통해서-
동방한문학
2015 .01
김종직의『이준록(彛尊錄)』에 대한 문학적 고찰
국문학연구
2017 .01
寒暄堂 金宏弼의 師弟 · 師友關係와 학문세계의 여정
민족문화
2015 .06
점필재학단의 분화와 탁영 김일손의 인물평가 ― 「조의제문」 사초수록과 그에 대한 탁영 김일손 평가의 실증적 검토를 중심으로 ―
국학연구론총
2020 .01
김종직의 함양군수 시절, 시문을 통해본 王化의 비전과 그 실천
율곡학연구
2020 .01
筆記를 통해 본 조선전기 영남지역의 문화와 인물
漢文學報
2021 .12
虛白亭 洪貴達의 정치적 역정과 시대정신의 발현 -성종대 新進士類와의 시대적 共感과 共鳴을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2024 .06
성종 14년(1483), 신진사류, 그리고 道學으로의 轉回 : 추강 남효온과 그 師友의 동향을 중심으로
민족문화
2018 .12
북한 최고통치자의 상징, ‘태양’의 성격에 관한 연구 : ‘이미지의 상징화’ 개념 적용 및 종교적의미부여 평가를 중점으로
종교연구
2017 .04
신당新堂 정붕鄭鵬 도학의 형성과 전개 : <안상도案上圖>와 『대학大學』을 중심으로
한국학논집
2016 .12
한국 현대시에서 ‘나(I)’와 ‘나를(me)’의 ‘거리’, 그리고 ‘슬픈 기분’의 ‘성찰’- 김소월, 이한직, 김종삼 시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2017 .01
조선 전기 和陶詩의 轉變
한국한문학연구
2015 .12
고령 선산김씨 김종직 종가의 주요문헌과 가치
역사와실학
2021 .11
김굉필의 도학적 위상과 이황의 역할
퇴계학보
2024 .06
김종삼 시의 언술 구조와 치유성에 관한 연구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8 .04
1967년 노동당 제4기 15차 전원회의 김정일 연설 : 김정일 후계체제의 서막
역사비평
2015 .08
梅月堂 金時習의 「感興詩 11수」 연구
한국문학논총
2022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