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율곡학맥의 미발논의와 마음[心]의 주재성 강화
동양철학
2015 .01
주자학의 미발(未發) 개념 정립 과정
양명학
2016 .08
주희의 중과 부중의 미발과 정(靜)의 관계 및 그 공부
온지논총
2022 .10
주희는 도남학(道南學)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孔子學
2020 .01
‘한국 성리학의 독자성’ 관점으로 본 순선(純善)의 확보 과제 — 퇴계 이황과 우암 송시열의 사례 —
한국철학논집
2024 .02
성학(聖學)의 관점에서 본 ‘도덕함’ 개념
한국철학논집
2021 .01
주희의 미발공부 유무와 호락논쟁
온지논총
2021 .01
臺山 金邁淳의 未發論 연구
퇴계학보
2019 .01
이황 미발론의 형성 배경과 천리체인의 방법
율곡학연구
2021 .01
주희의 중과 부중(不中)의 미발 및 그것에 관한 호락학자들의 논쟁
열상고전연구
2022 .02
중화설의 전개와 율곡학파의 미발인식
율곡학연구
2017 .12
宋代『神宗實錄』의 編修와『宋史』「王安石傳」
韓國史學史學報
2018 .01
미발수양론(未發修養論)의 인성교육적 의의
율곡학연구
2024 .09
주희의 중과 부중(不中)의 미발과 그 공부의 유무 - 성인과 중인(衆人)에 관련하여
율곡학연구
2021 .09
牛頭禪에 보이는 諸禪家 공유상통의 禪旨 - 宗密의 입장에 대한 비판과 보완 -
禪學(선학)
2016 .08
주자학의 관점에서 본 퇴계의 미발론(未發論)
대동철학
2017 .03
주희의 미발의 부중과 이발의 부중절
율곡학연구
2022 .03
송 대 신유학의 수양론 속에 내재된 불교적 요소에 대한 심층적 분석 - 불교의 눈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
2015 .01
김창흡과 이현익의 미발과 미발공부의 유무에 관한 논쟁 및 김창협과 비교
양명학
2021 .12
역사철학에서 본 양만리의 引史證易說과 理史合一의 세계
율곡학연구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