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Classifiers in Event and Nominal Plurality in Mandarin
어학연구
2021 .04
정동의 의미와 가능성
영어권문화연구
2019 .01
‘의미’의 발생 체계에 관한 연구(Ⅱ) -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 후반부를 중심으로 -
철학연구
2021 .11
한중일 복수 표현 대조 연구-한중일 영문 대역본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18 .01
칸트와 들뢰즈 철학에서의 시간의 순수 형식
철학사상
2024 .08
‘-(이)나’와 사건의 분산성
언어
2017 .09
들뢰즈의 ‘생성’ 개념과 교육에서의 심미적 체험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8
Reading against James Joyce’s Dubliners : “Clay” and Joyce’s “nicely polished looking-glass”
도시인문학연구
2021 .01
들뢰즈로 메리 올리버와 게리 스나이더의 생태시 읽기
영어영문학연구
2021 .08
들뢰즈와 퍼스 - 이미지와 기호의 분류에 대한 수기
기호학 연구
2021 .12
Excavating Mecca:Gwendolyn Brooks’s Spatial Sensitivity
영미연구
2020 .01
‘불일치’와 ‘탈중심성’으로서 장애를 사유하기 위한 모색: ‘들뢰즈의 ‘숭고’와 ‘시간-이미지’와 관련하여
인문과 예술
2022 .06
‘들’의 분포와 의미 기능에 대한 통시적 고찰
국어사연구
2018 .01
들뢰즈에서 주름, 바로크 그리고 내재성의 철학
시대와 철학
2019 .01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 』에 관한 연구 : ‘형상’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7 .02
1930년대 한중 모더니즘 문학논의 비교고찰
건지인문학
2017 .01
출산 주체 중심의 출산 담론 - 한나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을 중심으로 -
인간연구
2020 .07
Variation in the Parallel between Event and Nominal Plurality
언어학 연구
2021 .10
‘리좀학(Rhizomatique)’의 가능성 - 들뢰즈 철학의 학문적 원리와 확장 -
시대와 철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