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Introduction
2. Parallel between Event and Nominal Plurality
3. Parallel between Event and Nominal Plurality
4. Consequences: Syntactic Parallel between a CLv and a CLn
5.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Variation in the Parallel between Event and Nominal Plurality
언어학 연구
2021 .10
한중일 복수 표현 대조 연구-한중일 영문 대역본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18 .01
Number in the Verbal and Nominal Domains
언어학 연구
2021 .01
Pluractionality and Verbal Classifiers
언어와 정보사회
2020 .01
유형론 시각에서의 명사 분류사 및 복수 표지 의미 기능 대조연구 - 상하이 방언, 표준 중국어와 한국어를 대상으로 -
중국어교육과연구
2019 .06
‘-(이)나’와 사건의 분산성
언어
2017 .09
Number in (in)definite contexts: The case study of Korean
언어연구
2024 .03
Quantifying Events: A Case Study of Verbal Classifiers
영어영문학연구
2018 .01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수분류사 구문의 수사 제약에 따른 한국어 복수 표지 습득
언어연구
2024 .02
한국어와 스페인어의 복수표지 번역 전략 연구
번역학연구
2024 .12
A Short Note on Inclusive and Exclusive Plurals in Korean
생성문법연구
2023 .02
On Bare Nominal Adjuncts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06
Parallelism between nominal and verbal domains: Evidence from verbal classifiers
언어연구
2019 .01
Foldings and Unfoldings: The Paradox of Birth in Mina Loy’s “Parturition” (1914)
영미문학페미니즘
2022 .12
현대중국어의 복수사건과 허사 의미
중국어문논역총간
2019 .01
한국어 간접복수표현의 의미 해석 -‘-마다’와 ‘매’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17 .01
한국어의 가성복수(假性複數) 표현
언어
2016 .09
접미사 ‘들’의 복수성에 대한 연구 - ‘자기’의 국부적 결속 관계를 중심으로
언어학
2019 .12
The Effect of Noun Animacy on L2 Processing of the English Plural Morpheme –s by Korean and Chinese Learners
영미연구
2022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