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의미’의 발생 체계에 관한 연구(Ⅱ) -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 후반부를 중심으로 -
철학연구
2021 .11
들뢰즈에서 정동의 논리와 공명의 잠재력
시대와 철학
2015 .12
카타르시스와 정동의 시론적(試論的) 고찰
문학치료연구
2020 .01
들뢰즈의 ‘생성’ 개념과 교육에서의 심미적 체험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8
칸트와 들뢰즈 철학에서의 시간의 순수 형식
철학사상
2024 .08
들뢰즈로 메리 올리버와 게리 스나이더의 생태시 읽기
영어영문학연구
2021 .08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 』에 관한 연구 : ‘형상’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7 .02
사건과 변용의 신론 모색 ― 들뢰즈와 안병무의 비인격적 주체성과 관련하여
한국조직신학논총
2020 .01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 소설에 나타난 사물의 재현과 정동의 정치학 연구
영어권문화연구
2019 .01
토니 모리슨의 『그 아이를 도우소서』에 나타난 잃어버린 육체와 주조된 욕망
영미어문학
2017 .06
“나를 사랑하나요?”: 정동이론으로 바라본 D. H. 로렌스의 「말장수 딸」
D. H. 로렌스 연구
2019 .01
The Political Claim of Deleuzean Shame
비평과이론
2024 .02
Foldings and Unfoldings: The Paradox of Birth in Mina Loy’s “Parturition” (1914)
영미문학페미니즘
2022 .12
정동의 잉여적 사유들 -브라이언 마수미 논의를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2020 .01
‘리좀학(Rhizomatique)’의 가능성 - 들뢰즈 철학의 학문적 원리와 확장 -
시대와 철학
2019 .01
들뢰즈의 차이 번역론과 그 가능성들
통번역학연구
2019 .01
들뢰즈와 퍼스 - 이미지와 기호의 분류에 대한 수기
기호학 연구
2021 .12
‘불일치’와 ‘탈중심성’으로서 장애를 사유하기 위한 모색: ‘들뢰즈의 ‘숭고’와 ‘시간-이미지’와 관련하여
인문과 예술
2022 .06
들뢰즈와 과타리의 생성 이론 -베르그손과 레비스트로스와의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21 .08
Deleuze in the Age of the Theological Turn
비평과이론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