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조직상황에서 구성원이 느끼는 부정적 정서인 조직불안의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측정도구를 제작하고, 조직관련 부정적 정서가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과 같은 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관련 문항을 수집한 것을 전문가 평정을 통해 97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97개의 문항을 직장인 4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28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예비 조직불안 척도를 제작하였다. 예비 조직불안척도를 566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최종적으로 20문항으로 이루어진 조직관련 불안척도를 구성하였다. 조직불안척도는 4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는데, 그 요인들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지각요인, 통제감 지각요인, 대인관계 불안요인, 대안에 대한 지각요인이다. 이 연구에서는 응답자 특성변인으로 남녀, 연령, 직종, 업종, 직위, 개인별 수입, 학력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 특성변인에 따라 조직불안이 차이를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40대, 직종별로는 생산직, 업종별로는 제조업, 직위가 낮을수록, 월수입이 400-500일 경우, 학력이 낮을수록 조직불안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관련 불안정서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문화 생활만족도,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직관련 불안정서와 직무만족, 조직몰입은 부적인 관계를 보여주었고, 조직의 문화가 집단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를 지향하고, 조직구성원의 생활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조직불안을 경험한다 하더라도 직무만족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불안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가 집단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 생활만족도 사회적 지지에 의해 부분 매개되었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는 조직구성원들이 조직불안을 느끼고 있다 하더라도, 조직이 조직문화를 변화시키거나, 자기효능감을 높여주거나,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해 줄 수 상황을 만들 수 있다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증가시키는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scale measuring organization-related anxiety and to use this scale to examine the relation of organizational anxiety to demographic variabl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tment. A series of studies were conducted to develop a scale for organizational anxiety. Initially, the 97 items were adopted by expert ratings.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a sample of 435 workers yielded a preliminary version of organizational anxiety scale with 28 items. Subsequentl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566 workers, leaving 20 items. The final version of the organizational anxiety scale consisted of 4 sub-factors: perception of future uncertainty, perception of locus of control, interpersonal anxiety, and perception of alternatives. In this study, the examin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ed sex, age, type of occupation, type of industry, occupational position, monthly income and educational leve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composed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mediators, organizational culture, life satisfaction, sel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explored. The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organizational anxie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anxiety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mediators were explor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anxiety and job satisfaction and between organizational anxie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anxiety and job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the group culture, the developmental culture, the rational culture, lif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dividuals with the higher level of these mediators reported greater job satisfaction even if they experienced organizational anxiety.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the group culture, the developmental culture, the rational culture,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was observed o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anxie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implies tha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be improved with the interventions on organizational cultures,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despite the presence of organizational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