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고구려 멸망 이후 당의 한반도 정책과 신라의 불만 누적
Ⅲ. 670년 고구려 부흥운동의 발생과 신라의 개입
Ⅳ. 672~673년 고구려 부흥운동의 와해와 신라의 전략 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구려 검모잠·안승 세력과 대신라관계 인식
신라사학보
2020 .08
羅唐戰爭의 전개와 報德國
영남학
2023 .03
최치원의 사행과 재입당 시점 재고 - 「旅遊唐城贈先王樂官」의 분석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2021 .09
漢城의 高句麗國 再檢討
동북아역사논총
2015 .03
6~7세기 신라의 전략ㆍ전술 입안과 활용
한국사연구
2015 .06
660년대 고구려의 대남방 전략
대구사학
2018 .01
670년대 신라와 당의 대립과 소통 - 薛仁貴⋅文武王書狀의 분석을 중심으로 -
영남학
2023 .06
644년 당의 대고구려전 파병 요구와 신라의 대응
신라사학보
2022 .04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려고 하였을까
역사비평
2019 .08
광개토왕릉비 영락10년조에 나타난 고구려의 군사 활동과 외교관계
목간과문자
2023 .06
6세기 중엽 고구려와 신라의 통호와 7세기 전반까지 양국의 상호 인식
史叢(사총)
2017 .01
7세기 중엽 국제정세 변동과 고구려 대외관계의 추이
대구사학
2018 .01
충주고구려비를 통해 본 5세기 중반 고구려와 신라와의 관계
고구려발해연구
2019 .11
가야 諸國과 고구려의 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20 .06
羅唐同盟의 始末
대구사학
2017 .01
621년 나당수교와 그 전개 양상
신라사학보
2021 .08
중고기 新羅帶冠의 쇠퇴양상과 신라정치
신라사학보
2023 .12
보덕국의 탄생과 그 의미
대구사학
2018 .01
5세기 중엽 고구려의 신라방면 영향력 확대와 충주고구려비
고구려발해연구
2025 .03
고구려 영류왕 후기 대외정책의 변화와 연개소문의 정변
역사학보
202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