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퇴계 이황의 『주역』 공부-퇴계 이황의 주자학 이해의 심화과정에 대한 한 고찰
동양한문학연구
2018 .01
朝鮮後期 正祖의 立法觀에 관한 考察 : 『大典通編』 편찬 과정을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22 .04
朱熹의 楚辭學이 갖는 심층의의 고찰 ―朱熹의 특수한 신분이 갖는 의미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
2024 .08
정조 朱文手圈 편찬의 목적과 의의
숭실사학
2024 .06
형벌과 법제에 대한 주자학의 인식 연구 - 주희(朱熹)와 채침(蔡沉)의 서경(書經) 해석을 중심으로 -
유학연구
2019 .01
A Contemporary Assessment of the “Four-Seven Debate”: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ral Psychology of Yi Hwang and Ki Dae-seung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2019 .02
총론 : 새롭게 보는 정조와 19세기
역사비평
2016 .05
정조의 자연·만물관과 공존의 정치
역사비평
2016 .05
Reform or Maintenance of the Land System as Executing Justice: A Comparison of Jeong Yakyong and King Jeongjo
Korea Journal
2023 .12
조선시대 朱子 崇慕熱과 그 이미지의 시각화 양상
대동문화연구
2016 .01
주희(朱熹) 철학에서 이순(耳順)의 형이상학적 의미 -『논어(論語)』 ‘지우학(志于學)’장에 대한 주희의 해석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2018 .12
제임스 레게의 『대학 』 이해 - 『The Great Learning』 주석 내용을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2024 .06
조선 경학사적 맥락에서 살펴본 실학파 경학 - 정약용의 경학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
2016 .01
朱子的 「明德注」 新詮
태동고전연구
2019 .01
소식에 대한 평가를 통해 보이는 주희의 문학관 및 그 의의
중국어문학논집
2016 .10
則止軒 兪彦鎬의 記 一考
동방한문학
2021 .09
포저 조익의 성의공부로서의 무자기(毋自欺)에 대하여
민족문화연구
2018 .01
주자와 간재의 明德說 그리고 역사문화 의식의 차이
건지인문학
2017 .01
주자 철학에서 의(義) 개념의 다층적 함의- 처물위의(處物爲義)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유학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