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태동고전연구 태동고전연구 제42권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159 - 188 (3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朱子對 《大學》 「明德」的注解引發了當時及後代儒者許多的討論, 究竟明德是指心或是指性而言?在朱子的有關文獻中都可以找出根據。 當代牟宗三先生認為依朱子, 明德是指性而言, 對此他做了非常嚴謹明白的分疏, 又對朱子的注文給出修訂。 筆者細探「明德注」與 《大學或問》、《朱子語類》、《文集》 的有關的文獻, 認為明德是以心為主, 而性理在心中呈現之意。 明德不能只就心或理(性) 來理解, 而是兩者關聯在一起, 此說應該是朱子詮釋明德的原意。 本論文準備證成此一對明德的理解, 並由此說明朱子在「明德注」中所說的「因其所發而遂明之」是表示理在心中隨時有其流露, 故人對於道德之理是本有所知的。 本著此對性理的本知或已知, 就可以進一步而求真知, 故朱子可以說「因其已知之理而益窮之」, 而所謂「一旦豁然貫通」, 便有理論上的根據, 而非「異質的跳躍」。 如此解釋, 應可以對朱子的成德理論給出一個較為順當的說明。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