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올해로 21년을 맞은 문화선교연구원 사역에 대한 신학적 의미와 평가를 시도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1998년에 설립된 문화선교연구원은 대중문화의 급격한 확장에 따른 교회의 신학적, 목회적 대응의 필요성,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문화에 따른 신앙정체성의 약화와, 새로운 시대, 교회의 문화적 지도력 재고와 교회의 대응을 위해 창립되어 한국 기독교계의 대표적인 문화선교연구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문화선교연구원은 복음과 문화의 이원론적인 접근을 넘어, 문화에 대한 성서적 이해를 통해 “하나님 중심의 변혁적 문화관”을 기초로 대중문화 및 문화 현상에 대한 연구(research), 〈기쁨의 부활절 50일〉 프로젝트, 교회학교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교육영화〉, 문화매거진 〈오늘〉로 대표되는 문화 생산(creation)활동을 해왔다. 또한 〈서울국제사랑영화제〉 및 복합문화공간 〈필름포럼〉과 같은 플랫폼(platform) 구축 사역을 통해 문화 참여(engagement)와 변혁(transformation)의 길을 모색하여 왔다. 논자는 이러한 문화선교연구원 활동이 신학적인 차원에서 유의미한 사역이라고 보고, 신학적인 관점에서 문화선교연구원의 사역을 1. 문화적 전환기 속에서 이루어진 적극적인 시대적 응답, 2.이론과 실천을 아우르는 통합적 사역, 3. 문화 변혁을 목표로 하는 문화선교의 공공성 성격 지향, 4 참여와 변혁을 위한 문화 진지 구축, 5. 다음세대를 준비하는 문화선교 사역이라는 특징으로 요약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화선교연구원의 사역은 21세기 초반 문화지체현상으로 인한 위기가운데 있는 한국교회가 지속적으로 시도해야할 선교적 과제임을 주장하면서, 새롭게 시도해야 할 문화선교의 신학적· 목회적 과제들을 제언하게 될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한국 교회의 대표적 문화연구기관인 문화선교연구원 사역에 대한 의미가 신학적으로 엄밀히 평가되는 또 다른 시도들이 촉발되기를 바라며 또한 한국교회가 지속적으로 실천해야 할 문화선교적 전략과 비전을 모색하는 움직임들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was written to give a theological meaning and evaluation of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21 years old this year. Founded in 1998, the Institute for Cultural Missions has been established because of the weakening of religious identity according to postmodernism and consumer culture, the cultural leadership of the Church in the new era, and the response of the Church. In addition, a theological and pastoral response of the Church in response to the rapid expansion of popular culture was needed. Unlike a dualistic approach to gospel and culture, the institute’s perspective about popular culture and cultural phenomena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od-centered Transformational Culture” through Biblical understanding of culture. Based on this viewpoint, the institute researched popular culture, produced the “Education Film” for children and youth in church school, as well as a culture magazine Today. We have also searched for ways to engage and transform through Seoul International Agape Film Festival and the Christian theater, Film Forum. I characterize the Institute’s ministry condensed into five characters: 1. the appropriate response in the era of cultural change, 2. the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theory and practice, 3. cultural vision aiming at cultural transformation as publicness, 4 establishing a cultural trench for participation and transformation, and finally, ministry to prepare for the next generation. In conclusion, I will propose the institute’s work to be continuously applied throughout the early 21st century. In particular, I suggest that the ministry of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is more important in the social-cultural contex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religiousization, postmodernism & consumerism, and post-secularization. Through this process, I hope to establish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Church, and to identify the cultural mission strategy and vision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practice in the future.
〈국문초록〉 Ⅰ. 서론: 논문작성의 동기, 연구방법, 선행연구 Ⅱ. 문화선교연구원 사역의 시대적 배경 Ⅲ. 교회와 문화의 관계설정을 위한 신학적 토대 Ⅳ. 문화선교연구원의 활동(1998-2019) Ⅴ. 문화선교연구원 활동에 대한 신학적 평가 Ⅵ. 결론: 과제와 전망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