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1. 머리말
2. 임진왜란의 발발 원인에 대하여-최근 일본 연구의 소개-
3. 정유재란의 원인에 대하여-‘조선왕자 來日문제’-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명(對明), 대조선(對朝鮮) 인식 -1593년의 명・일 강화교섭을 중심으로-
史叢(사총)
2024 .09
A Shortcut to a Dead End: Locating Joseon Korea in Toyotomi Hideyoshi’s Grand Strategy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4 .12
임진전쟁기 조선조정의 對明 일본재침 경보와 양국 공조
역사학보
2022 .03
壬辰倭亂期 豊臣政權의 權威 - 히데요시의 天皇·天子 활용을 중심으로 -
韓國史學史學報
2021 .12
정유재란 시기 전라도 지역 일본군 동향과 조선의 대응
전북사학
2022 .07
일본군 기록으로 본 울산성 전투와 전투 직후 일본군의 동향
한일관계사연구
2024 .08
조선 국왕 宣祖의 일본인식
한일관계사연구
2023 .02
李德馨의 전쟁경험과 일본인식
한국사상과 문화
2015 .01
왜란 시기 예수회 선교사들의 일본과 조선 인식 : 순찰사 알렉산드로 발리냐노의 일본 방문을 중심으로
교회사연구
2016 .12
龍州 趙絅의 대일인식
한국사상과 문화
2017 .01
조선후기 통신사행록 속에 나타난 전쟁의 상흔, 그리고 부산
한국문학논총
2020 .01
『정한위략(征韓偉略)』과 임진전쟁
한일관계사연구
2023 .11
조선후기 일본지식 생성자로서의 통신사 역관 연구
한국문학논총
2018 .01
임진전쟁기 조선 사신의 대명(對明) 외교활동 ― 정유재란 중 대명 사행록을 중심으로 ―
온지논총
2022 .07
사명당 유정의 강화활동을 통해 본 조·일 갈등과 치유
불교학보
2017 .12
정유재란사(丁酉再亂史) 연구에 관한 한일학계 연구의 현황
학림
2020 .01
근대 조선 신의주와 중국, 일본간의 무역에 관한 약론(1910-1937)
한국학논집
2022 .03
임진전쟁기(1594년) 조선군과 일본군의 이면교섭 연구 : 『泰長院文書』 수록 兩軍 書狀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
2018 .08
고려후기·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일관계사연구
2018 .05
일본문화교육 전후 일본이해도 차이 연구 ― 경남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日本語敎育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