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식민지 시기의 문학 담론과 일본어 신문의 전통시가 - 1910~1920년대『조선시보(朝鮮時報)』의 운문 문예물을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
2020 .02
일제강점기 일본어신문 『조선시보(朝鮮時報)』의 광고란 고찰 - 광고지면의 구성 및 표현 양상을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연구
2022 .02
식민지신문 『조선시보(朝鮮時報)』의 연재소설 작가 연구- 메이지 유행 작가 오구리 후요(小栗風葉)를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연구
2019 .01
『조선시보(朝鮮時報)』의 이체자 표기에 대한 고찰 - 1914~1930년의 기사 제목과 부제목를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
2020 .05
『朝鮮時報』에 보이는 미신관련 기사 고찰
일어일문학
2021 .02
부산지역의 근대문화유산과 역사인식 문제-부산의 ‘등록문화재’를 중심으로-
항도부산
2017 .01
일제강점기 부산부 편입지역의 공업 동향과 입지
항도부산
2023 .02
메이지(明治)시대 한국에서 발행된 일본어 신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조선신보(朝鮮新報)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8 .05
근대 부산 교육과 도서관- 개성학교와 일본홍도회부산지회 문고를 중심으로 -
항도부산
2021 .08
일제강점기 부산의 일본불교계 현황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021 .01
근대 일본의 조선 설화연구의 현황과 과제
열상고전연구
2018 .01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사회교화 영화정책과 ‘변사’ ― 재조일본인 발행 잡지 『조선공론(朝鮮公論)』의 기사를 중심으로 ―
日本語敎育
2018 .01
1980-90년대 부산 기업의 역외이전
항도부산
2016 .01
제국 일본의 교통망과 부산항의 군사적 역할
항도부산
2021 .08
정우회 국회의원 모리야 에이후(守屋榮夫)와 조선사회
인문논총
2022 .11
韓国大学生が関心を持つ日本の「文化」
日本語敎育
2019 .01
한국 고등학교 일본어학습자의 대일(對日) 인식
일본어문학
2023 .02
김동리의 신문연재소설 〈해방〉의 ‘줄거리 텍스트’ 연구
국어국문학
2019 .06
아시아태평양전쟁과 부산의 군사기지화
항도부산
2022 .08
일본문화교육 전후 일본이해도 차이 연구 ― 경남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日本語敎育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