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머리말
2. 조선초기 ‘태사묘’
3. 조선전기 시조始祖의 출현
4. 삼공신묘와 태사묘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世紀初前後韓國的關羽崇拜 - 以北、西關王廟爲中心的高宗王室崇拜情況-
동아인문학
2020 .03
한말 일제강점기 민족사학자들의 위만과 위만조선 이해와 서술
역사연구
2017 .12
조선후기 관왕묘(關王廟)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그 의미 : 18세기 서울 동·남관왕묘를 중심으로
역사와현실
2016 .09
고조선의 정체성(正體性) 탐색을 위한 초론(初論) : 중국이라는 타자의 눈에 비친 고조선의 종족적 정체성
동북아역사논총
2018 .12
조선시대 ‘가족(家族)’의 등장과 성리학
민족문화연구
2019 .01
기묘사림과 ‘공론지상주의’
역사와현실
2018 .06
秦代 이전 宗廟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小考 - 古文字에서의 象形과 周代의 宮廟遺跡地 조사 및 文獻的 사례를 중심으로 -
동서철학연구
2016 .03
조선후기 국가 제사와 제주도 흑우(黑牛)의 진상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0 .09
예안 사족 김택룡金澤龍과 영남사족사회 — 지역, 학맥 그리고 전국적 사족 연결망 속에서의 위상
국학연구
2023 .03
문화유산으로서 태사묘의 가치와 의미 - 공공성과 개별성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19 .07
식민지 조선으로의 신사신도(神社神道)의 유입에 관한 일고찰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8 .06
양양의 정체성과 고찰
강원민속학
2022 .09
고조선의 강역과 물질문화 연구를 위한 제언
고조선단군학
2021 .08
전후 한국에서의 국가신도(國家神道) 시설의 변용 : 국내에 건립된 신사와 신사터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6 .02
정약용의 士族 인식과 그 의미―다산 經世書에 나타난 士族의 지위와 역할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8 .01
동해신사(東海神祠) 고찰 -명칭을 중심으로-
강원민속학
2020 .03
조선후기 평양의 사족士族
국학연구
2015 .08
조선시대 해양국가와의 교류사 : (하우봉, 경인문화사, 2014)
한일관계사연구
2016 .08
舊韓末과 日帝强占期 禮書 刊行의傾向과 意味 硏究
동양한문학연구
2015 .02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과 동해신묘의 가치 - 양양의 ‘용오름 도시 프로젝트’와 그 문화적 의미 -
한국문학과 예술
202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