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머리말
2. 평양의 사족 집단 : 『기성유림명가세의보箕城儒林名家世誼譜』 분석
3. 평양 거주 문과 급제자와 기성유림의 관계
4. 기성유림 가문 사례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예안 사족 김택룡金澤龍과 영남사족사회 — 지역, 학맥 그리고 전국적 사족 연결망 속에서의 위상
국학연구
2023 .03
정약용의 士族 인식과 그 의미―다산 經世書에 나타난 士族의 지위와 역할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8 .01
Creating P’yŏngyang’s Legitimacy: North Korea’s Excav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Tomb of King Tongmyŏng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24 .08
『我邦疆域考』 역주・비평(1) -朝鮮考-
한국사학보
2020 .02
광해군 대 정치 지형의 변동과 경상도 禮安 士族들의 대응
역사학보
2015 .06
체제 전환기 크로아티아 엘리트 재편: ‘엘리트 순환’과 ‘엘리트 재생산’ 양상과 결과를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
2021 .11
조선 후기 사족의 혼인과 이주 : 예안 광산김씨의 사례
한국사학보
2015 .08
伊藤東涯의 『三韓紀畧』편찬과 조선 연구
사학연구
2018 .03
「玉所散錄」의 특성과 자료적 가치
영남학
2021 .12
러시아 의회엘리트가 정치체제 유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통합·분화·순환 모델을 중심으로
슬라브학보
2023 .12
琉球王國과 朝鮮王朝 族譜의 비교연구
대동문화연구
2016 .01
1802년 언양 향교의 儒案 작성과 새로운 구성원들
역사와경계
2018 .09
서구식 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러시아 엘리트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러시아 엘리트의 정치적 신념, 국가 자긍심, 사회적 지위의 효과
슬라브학보
2024 .06
월간 이전 · 창석 이준 형제의 전쟁체험과 애민정신, 그리고 존애원
국학연구
2016 .08
임진왜란기 사족士族 부형父兄의 형상화 - 『쇄미록瑣尾錄』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1 .11
김태준의 조선-문학-사 구상과 조선 가요 -작품들의 고고학, 문서고로서의 문학사
한국현대문학연구
2019 .12
조선후기 향촌 재지사족의 향현 추숭활동 연구 : 孫起陽 추숭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2018 .03
옥소 권섭의 기행가사 <영삼별곡>(寧三別曲)의 원전 비평
국문학연구
2024 .05
동산도서관 소장 사마방목의 현황과 가치
한국학논집
2015 .06
온톨로지를 이용한 문과방목의 정본화(定本化) 연구
인문콘텐츠
202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