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퇴계의 서원관과 조선후기 소수서원 講學의 변화
퇴계학논집
2016 .01
慶州地域 書院 配置와 特徵
문화사학
2021 .12
일기를 통해 본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와 그 제향서원(祭享書院)
포은학연구
2021 .10
한국 서원 장서의 구축과 관리 제도의 변화
한국서원학보
2021 .01
朱子书院文化与韩国书院的发展
한국서원학보
2020 .01
우탁禹倬 제향 서원의 건립 추이와 성격
국학연구
2020 .11
면암 최익현의 서원 관련 언행에 대한 일고찰
한국철학논집
2023 .05
白鹿洞书院的建立背景与中国书院的变化-宋元明清-
한국서원학보
2020 .01
영감의 공간으로서의 서원
한국서원학보
2021 .12
조선시대 서원 학규의 시기별 경향-16세기~18세기를 중심으로-
한국서원학보
2021 .12
書院과 性理學的 理念의 구현
동아인문학
2023 .06
서원의 지식 네트워크 활동의 실제-상주 道南書院의 詩會를 중심으로
한국서원학보
2021 .01
道山書院의 복원과 개발 과제 제안(I)-거창 도산서원 복원 계획 수립을 위한 참고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
2022 .12
북한 지역의 서원·사우 현황과 숭양서원의 위상
포은학연구
2019 .01
일제강점기 현풍 도동서원의 현실과 대응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22 .06
서원을 활용한 다문화 가치 창조에 대한 연구-임고서원을 중심으로
포은학연구
2015 .01
퇴계 이황의 서원십영(書院十詠)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2016 .01
조선시대 서원(書院) 강학(講學) 관련 자료의 유형과 특징
유학연구
2019 .01
전북지역 서원(書院)의 현대적 활용 방안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6 .12
조선 말기와 일제기 영남의 대표 유학자 곡포谷圃 이능윤李能允의 삶과 현실대응
국학연구
2020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