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유학연구 유학연구 제39권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113 - 136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간재 전우는 선현에 대한 평가에서 퇴계 이황은 학문, 율곡 이이는 리기, 우암 송시열은 사업에 특장이 있다고 했다. 그는 20세에 퇴계문집을 읽고 깊은 감동을 받았으며, 74세에 퇴계의 완결된 전집을 얻어 읽은 다음 퇴계가 고봉에게 답한 편지에 대한 소감, 그리고 퇴계와 율곡의 학설에 대한 견해를 밝히는 글을 썼고, 77세에 회암 퇴계 율곡 세 사람의 학설에 대한 저술을 하였다. 그는 회암 퇴계 율곡의 글이 마치 한 사람의 손에서 나온 것처럼 논지가 동일하다고 했다. 그 근거로 삼은 것은 「답김이정(答金而精)」, 「답우경선(答禹景善)」, 「답이굉중문목(答李宏仲問目))」, 그리고 「정재기(靜齋記)」 등 퇴계가 만년에 쓴 글이다. 간재는 성발(性發), 리발(理發) 리지발(理之發)이 모두 순리이발(循理而發)의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한다. 또한 퇴계가 말한 ‘동정자 기야(動靜者 氣也)’는 율곡의 ‘발지자 기야(發之者 氣也)’와 같은 의미라고 한다. 그는 율곡이 비판한 퇴계의 이론은 퇴계 만년의 것이 아니라고 한다. 퇴계 만년의 주장이 담긴 위의 자료는 율곡 사후 17년이 지나 편집되었기 때문이라 한다. 따라서 퇴계와 율곡 문하는 서로 반목할 필요가 없으며 두 선현을 모두 존중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퇴계의 존리(尊理)론과 간재의 존성(尊性)론은 일견 동일한 양상과 지향을 갖는 것으로 비친다. 존리론은 리기론에서 윤리적 가치를 확보하는 기초이고 존성론은 심성론에서의 심을 기로 이해하는 개념정합성과 관련된 논의 구조로서 논의 틀 자체가 다르다. 둘은 사동실이(似同實異)라고 할 수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