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한글요약
Ⅰ. Introduction
Ⅱ. Two Models of Chan Praxis
Ⅲ. Faith, Doubt, and the First Enlightenment
Ⅳ. Huatou Praxis and the Second Enlightenment
Ⅴ. Great Sea, Chan Praxis, and the Enlightenment
Ⅵ. Conclusion
Bibliography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碧巖錄』 ‘是什麽’의 用處에 관한 一考
禪學(선학)
2019 .01
무사와 활구의 관계에 대한 재고- 연속성의 관점에서
禪學(선학)
2017 .12
Chinul’s Chan Hermeneutics Beyond Historicism and Internal Dynamics : Chinul’s Reconfiguration of Dahui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17 .04
詩·書·畵를 통해 표출된 蘇軾의 禪意 연구
중국학논총
2015 .01
宋代 居士佛敎의 발전과 儒·佛의 대응
중국사연구
2023 .06
Chan Ways of Dying: Insights into the Great Matter of Death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19 .06
『인천안목』이 조선시대 불교에 끼친 영향 -1395년 회암사 간행본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2024 .09
Huayan and Chan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Buddhism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17 .06
Ethical Action through “Ambiguity” in Existentialism and Kanhwa Chan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20 .06
Venerable Shengyan’s Self-Representation in Relation to His Formulation of Chan Buddhism
불교학리뷰
2023 .04
찰스 웨슬리의 “하나님의 사랑, 모든 사랑을 능가하는 사랑”과 우리말 번역 찬송가들 비교 연구
신학과세계
2019 .03
대혜종고의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 붓다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종교연구
2019 .08
車相瓚의 『通俗朝鮮四千年?史』 편찬의식 고찰
고전과 해석
2021 .12
깨달음의 본질, 기제 그리고 전략 : 깨달음의 일상적 적용을 위한 시론
철학연구
2018 .06
性徹禪師的“頓悟頓修”与中國禪學韓國化
禪學(선학)
2018 .01
푸코의 칸트 『인간학』 독해의 양면성
서강인문논총
2024 .08
깨달음의 본질과 일상성: 왜 신비화와 일상성의 비교인가?
동서비교문학저널
2024 .06
요동하는 ‘65년 체제’: 한일협정의 당대적 한계와 공생의 미래 - 하근찬의 ‘65년 체제’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과 예술
2023 .03
간화(看話)와 반조(返照)1)에 대한 일고찰 - 대혜(大慧)와 한암(漢巖)을 중심으로 -
禪學(선학)
2015 .08
『개벽』, 『별건곤』의 민요 수록 양상을 통해 본 차상찬의 문학관 및 민요의식
실천민속학연구
2023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