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Kim, Yong-Hwan (Hanmaum Seonwon Foundation)
저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불교학보 불교학보 제86집
발행연도
2019.3
수록면
63 - 96 (34page)
DOI
10.18587/bh.2019.3.86.6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은 간화선이 시각문의 수행 구조를 취한다는 것을 근거로 하는 수행 모델을 제시한다. 이는 본각문인 조사선 수행 모델에서 유래된 것이다. 중국선의 수증론적 구조를 이와 같이 개념화 하는 것은 중국선 수행 전통을 통일된 관점으로 조망할 뿐 아니라 보다 넓은 안목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개념틀을 이용하여 우리는 대혜종고의 깨달음 체험 사례를 분석할 것이다. 여기에는 깨달음에 이르는 중요 요인을 파악하고, 여러 요인들이 어떤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계기적으로 다른 국면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 볼 것이다. 이것은 대혜 자신의 말로 기술된 그의 깨달음의 체험에 대한 상세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제시하며, 특히 그의 대작이라 할 수 있는 『대혜어록(大慧語錄)』에서 나타난 세 번의 주요한 깨달음의 계기에 초점을 두어 분석한 것이다. 여기서는 단순히 연대기적 순서에 따라 세 가지 깨달음의 사례를 기술하는 것보다, 그의 목적을 달성하는 가운데 직면하는 장벽과 동인(動因)의 동태적인 과정을 부각시키고, 수행의 완성 과정에서 보이는 근본 원리와 두드러진 특징들을 발견한다. 각각의 사례는 대혜와 그의 스승들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제시될 뿐 아니라, 믿음, 내면적 장벽과 의심의 역할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며, 또한 의심의 세 가지 차원 즉 근본적 의심, 실존적 의심, 방법론적 의심 등이 각각의 깨달음의 사례에 관련하여 논의될 것이다. 이러한 분석에 앞서, 이 논문은 먼저 선수행의 이상(二相) 모델을 설정하고, 그 모델의 핵심 요소들을 논의함과 아울러 이를 확장하여 간화선 수행의 삼상(三相) 모델을 제시하며, 간화선을 이 모델의 맥락에서 살펴볼 것이다. 끝으로 선수행의 핵심 이슈인 간화삼요와 돈점 논쟁에 대한 시사점을 간략히 언급할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
Ⅰ. Introduction
Ⅱ. Two Models of Chan Praxis
Ⅲ. Faith, Doubt, and the First Enlightenment
Ⅳ. Huatou Praxis and the Second Enlightenment
Ⅴ. Great Sea, Chan Praxis, and the Enlightenment
Ⅵ. Conclusion
Bibliography
Abstract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220-000577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