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Inculturation on 16th Century Japan
신학과 철학
2015 .01
『碧巖錄』 ‘是什麽’의 用處에 관한 一考
禪學(선학)
2019 .01
[제1주제 토착화 부문]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설립 30주년 기념평가 종합진단 - ‘토착화 부문’
한국그리스도사상
2022 .06
韩国现代佛教的法脉及性徹禅师
禪學(선학)
2018 .01
한국 불교학의 세계화와 세계 불교학의 한국화 방안 ‒ 한국어와 영어 권역 불교학술 논저를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
2015 .01
詩·書·畵를 통해 표출된 蘇軾의 禪意 연구
중국학논총
2015 .01
중국의 생활선(生活禪) 유행과 정혜(定慧)법사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18 .01
Chan Ways of Dying: Insights into the Great Matter of Death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19 .06
『인천안목』이 조선시대 불교에 끼친 영향 -1395년 회암사 간행본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2024 .09
大慧宗杲における華厳と禅 : 雪峰教団における華厳思想の受容とその宋代禅への影響
불교학보
2015 .12
Dahui Zonggao’s Enlightenment Experiences, Huatou Praxis, and Kanhua Chan : An Analysis
불교학보
2019 .03
Venerable Shengyan’s Self-Representation in Relation to His Formulation of Chan Buddhism
불교학리뷰
2023 .04
Huayan and Chan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Buddhism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17 .06
간화선 대중화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2018 .01
충돌과 화합 : 마샹보[馬相伯]의 중국 천주교 토착화
교회사연구
2016 .06
[토착화 부문] 토착화와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30년- 그 성찰과 전망
한국그리스도사상
2021 .02
『傳心法要』에 나타난 大乘禪觀 小考
한국불교학
2016 .01
A Comparative Study of Sudden and Gradual in Sŏn 禪and the New Testament
Journal of Korean Religions
2019 .01
[학술대회 논문] 지눌 수증론의 해오(解悟)와 증오(證悟)의 의미 재조명
철학사상
2023 .08
[특별기고문] 왜 지눌인가? -한국의 뛰어난 불교 사상가의 연구에 바친 나의 삶에 대한 회고-
철학사상
2023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