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머리말
2. 『가례』 체제로의 수렴과 보완: 『상례통재喪禮通載』·『상례비요喪禮備要』
3. 『가례』 체제의 복원과 『상례비요』의 보완: 『가례집요家禮輯要』
4. 『가례』의 보완에서 『가례』의 개정으로: 『사례편람四禮便覽』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효자전, 경전과 관행의 사이 - 조선 초 왕조실록의 효행 통계를 중심으로 -
양명학
2021 .06
조선후기 四禮의 전형―『四禮便覽』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20 .01
『묵재일기』 모친상으로 본 『가례』 식주(食住) 규제의 실천과 변통
한국민속학
2021 .05
조선 초 迎勅儀禮의 성립과정과 그 특징
역사문화연구
2022 .02
조선본 『가례(家禮)』의 특징과 의의
민족문화연구
2020 .01
순암 안정복의 『가례』연구와 그 방향
한국실학연구
2020 .01
조선초기 국가의례 정비와 『가례(家禮)』
태동고전연구
2021 .12
조조의(朝祖儀)의 공간 및 설행에 대한 논의와 그 의의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1 .06
17세기중반 樂善君 李潚의 생애와 혼례의 특징
동서인문학
2018 .08
한주 이진상의 『사례집요』와 예학사상
한국학논집
2015 .09
근현대 애도의 표상물인 상장(喪章)의 도입과 유형별 변천 양상
역사민속학
2019 .12
1749년(영조 25) 和緩翁主와 부마 鄭致達의 가례
한국사학보
2015 .02
唐朝 官人 喪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역사와 세계
2017 .06
제례음식의 규범과 토착화 - 불천위제례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1 .07
파리국립도서관 소장 滿漢 「千字文」에 나타난 표기 혼란의 성격에 대하여
언어학
2020 .08
BnF 소장 滿漢 주음 자료 『千字文』의 주음 방식에 대하여
한중인문학연구
2019 .01
性齋 許傳의 深衣 연구
동양학
2021 .01
朝鮮과 明의 淫祀와 城隍祭儀 인식과 대응 비교연구
역사와 세계
2021 .12
고려전기 기신의례(忌辰儀禮)에 보이는 공간과 동선, 그리고 왕권의 재현
역사와현실
2024 .06
儒敎 喪禮와의 비교를 통해 본 조선 후기 天主敎 喪禮의 특징
교회사연구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