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고려의 고구려 계승의식과 주몽·동명 인식
Ⅲ. 주몽과 동명의 일체화 시점
Ⅳ. 고려의 동명성왕 관념 성립과 이유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1세기 초 주몽서사를 둘러싼 한ㆍ중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한ㆍ중 민족주의 담론으로서의 주몽서사에 대한 계보학적 고찰의 일환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15 .02
주몽고려, 궁예고려, 왕건고려, 코리아의 단절과 계승
역사와현실
2018 .09
고구려 시조 주몽의 출자지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검토 - 주몽 설화의 공간과 역사성 -
한국사연구
2019 .09
<동명왕편(東明王篇)>의 서술 체계와 인물 형상
국문학연구
2018 .01
고려는 어쩌다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로 인식됐을까
역사와현실
2021 .09
어린이 책에 나타난 고구려 건국신화의 전승양상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6 .06
해방 후의 이광수와장편소설『사랑의 동명왕』
춘원연구학보
2015 .12
고구려인가 기자조선인가: 몽골제국에서 고려 역사상의 경합
역사와현실
2022 .09
이광수의 『사랑의 동명왕』에 나타난 가족로망스 연구
춘원연구학보
2016 .12
고려중기 고구려계승의식의 변화와 ‘句高麗’
역사와실학
2020 .08
〈東明王篇〉을 통해 본 李奎報의 스토리텔링 전개
한국문학과 예술
2017 .12
고구려와 북조의 조공관계 성격
한국사학보
2019 .05
국호와 건국멸망연대로 살펴본 『제왕운기』의 역사계승의식
민족문화
2023 .07
가야 諸國과 고구려의 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20 .06
『三國史記』 百濟本紀의 溫祚傳承과 沸流傳承
역사와 담론
2015 .01
고구려 건국신화의 형성과 변용
국학연구
2015 .12
高句麗 留記의 編纂과 性格에 대한 고찰
고구려발해연구
2022 .07
백제 멸망 이후 馬韓 인식의 변화 양상
한국고대사연구
2015 .03
660년대 고구려의 대남방 전략
대구사학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