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국제부녀절의 유입과 기념일의 제도화
Ⅲ. 기념일의 경험과 문학적 표상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수신 교과서 부녀감(婦女鑑) 의 텍스트성 -일본 근대 전환기 여성 표상의 다양성-
史叢(사총)
2022 .01
조선후기 여성의 질병 경험에 대한 기억 서술과 의미 - 여성 대상 제문(祭文)을 중심으로 -
어문학
2021 .03
중국 자이융밍(翟永明) 시의 ‘검은 밤의 의식’과 죽음 콤플렉스 ―연작시 “여인”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2024 .09
1930년대 초 ‘국제적 부녀 매매’ 문제를 통해 본 조선인 매매춘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5 .11
学术期刊与新世纪中国近现代妇女/社会性别史研究 -以<<妇女研究论丛>>为例-
중국사연구
2019 .01
해방된 자아에서 동원의 대상으로 : 북한 여성정책의 굴절(1945∼1950)
한국사연구
2015 .09
차이창(蔡暢)의 부녀해방 사상에 대한 일고찰 - 국가건설기(1940년대∼50년대)를 중심으로
여성과역사
2020 .01
절정부란 무엇인가
PAPER
2019 .06
메이데이(May Day)는 어떻게 근로자의 날이 되었나―노동기념일을 둘러싼 사회적 기억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24 .08
북한의 여성과 여성 혁명가에 관한 이미지 연구 - 전근대사 및 ‘김정숙’ 관련 교육을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2020 .12
전후 북한여성의 삶과 탈북의 전략적 선택
여성과역사
2016 .01
북한 로동신문 보도 기사문의 텍스트 구성방식 연구
이중언어학
2023 .06
역대하 36장 21절과 22절-23절의 통일성 연구
피어선 신학 논단
2016 .02
5.18 기억과 구술사: 기억공동체에서 기록공동체로
구술사연구
2021 .09
한국 근대 여성문학의 탄생과 형성 ?근대 초기∼식민지기?
개념과 소통
2020 .01
Early Cold War Internationalism of the North Korean Democratic Women’s Organization
동서인문
2024 .12
조선후기 양반 여성의 사회적 평판과 인정구조 재성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1 .01
한일 근대 여성작가의 탄생과 정체성 연구
어문론집
2016 .06
기억의 공간 구성 중심의 소설 읽기 교육 내용 연구
동남어문논집
2019 .01
1930년대 중국소비에트구의 여성운동
사림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