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태일 (경남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시학회 한국시학연구 한국시학연구 제52호
발행연도
2017.11
수록면
77 - 120 (4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오장환은 1947년 가을 월북하여 1951년에 숨졌다. 4년에도 못 미치는 기간 낱 책 두 권과 비평 1편, 시 28편을 발표한 것으로 알려진다. 2002년 『오장환 전집』이 마련되면서 확인한 결과다. 이 글에서 글쓴이는 새로 재북 시기 문필 활동 11편을 찾아 문헌지를 재구성하고, 그 대강을 살펴 오장환 이해의 바탕을 키우고자 했다. 논의는 둘로 나뉜다. 첫째. 기존 문헌지를 점검하여 바루고 더한 자리다. 시 「2월의 노래」 발표 시기를 5월에서 3월로 바로 잡고, 전집에 적었으나 올리지 않았던 시 「탑」을 알렸다. 나아가 시집 『붉은기』에 실었거나 다른 곳에 올린 시 가운데 모두 9편의 첫 발표 매체를 새로 밝혔다. 첫 발표와 뒷날 발표 작품 사이 변개가 큰 사실까지 짚어 앞으로 이루어질 연구 과제로 넘겼다. 둘째, 발굴 작품 11편은 시 5편, 비평문 4편, 번역 1편, 좌담 1편이다. 발굴시에서는 형식적 유기성이 떨어지는 부조화를, 노동자 작품 선후감을 중심으로 쓴 비평문에서는 평가 잣대로서 자신의 형식주의적 세련성이 지닌 자기모순과 그로 말미암은 자의식을, 번역 동화시와 좌담에서는 한결같이 과잉된 소련 편향을 엿볼 수 있었다. 이러한 됨됨이는 북한 사회 편입 과정에 오장환이 지녔을 복합적인 마음자리를 짐작하게 한다. 이 글을 빌려 재북 시기 오장환의 문필 활동은 낱책 2권, 시 33편, 산문 5편, 번역 1편, 좌담 1편으로 늘었다. 월북 뒤 첫 발표작과 맨 뒤 발표작, 1948년 12월에서 1949년 5월까지 6개월에 걸친 소련 체류 기간 확정을 비롯한, 재북 시기 오장환의 삶과 문학에 관련한 새 정보까지 보탰다. 이 글을 거름 삼아 더 깊은 오장환론이 이어지기를 바란다.

목차

국문초록
I. 들머리
Ⅱ. 기존 문헌지 점검
Ⅲ. 발굴 작품의 대강
Ⅴ.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811-001572514